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es of Priorities in Contexts for the Script-based Speech Language Intervention by Age for 3~6 years Old Children in SLPs and Caregivers

3~6세 연령대별 언어장애아동의 언어중재 스크립트 상황에 대한 양육자와 언어재활사의 우선순위 분석

  • 유지원 (순천향대학천안병원 이비인후과) ;
  • 윤미선 (나사렛대학교 언어치료학과) ;
  • 최성준 (순천향대학천안병원 이비인후과) ;
  • 홍경훈 (나사렛대학교 언어치료학과)
  • Received : 2019.01.25
  • Accepted : 2019.03.21
  • Published : 2019.04.28

Abstract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amine how the caregivers and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SLPs) would perceive the important communication contexts for 3~6 year-old children in the script-based intervention.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ses were conducted for the obtained survey data from SLPs and caregivers. Results showed that caregivers perceived 'educational and social life' and SLPs perceived 'family life' as the most important contexts from among three high-level contexts. Within each high-level context, 'meal time' in 'family life', 'playing with friends' in 'educational and social life', and 'playground' in 'culture and leisure life' were the most important communication contexts. Also, from among 35 global priority rank, caregivers perceived 'playing with friends' while SLPs perceived 'meal time' as the most important contexts, and 'family life' was high priority among first five ranked context both in caregivers and SLPs. In caregiver groups by children's age, 3 year- and 6 year-caregiver groups perceived 'family life' and 4 year- and 5 year-caregiver groups perceived 'educational and social life' as the most important contexts. There were also slight differences between caregiver groups by age in the rank order of communication contexts across the high level contex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LPs may need to consider not only child's age and developmental level but also caregiver's demands in selecting the appropriate communication contexts when delivering the script-based speech language intervention.

본 연구는 3~6세의 언어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일상적 스크립트를 활용한 언어중재에서 양육자와 언어재활사가 인식하는 우선적 중재가 필요한 주요 의사소통 상황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예비조사와 본 설문조사를 거쳐 수집한 데이터를 계층분석 (AHP)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3개의 상위 상황 중에서 양육자는 '교육사회생활' 그리고 언어재활사는 '가정생활'을 가장 우선적인 상황으로 선택하였다. 상위별 하위상황의 경우, '가정생활'에서는 '식사', '교육사회생활'에서는 '친구와 놀기'가, 그리고 '여가문화생활'에서는 '놀이터'가 중요한 의사소통 상황으로 인식되었다. 전체 35개의 하위 상황에서 양육자는 '친구와 놀기' 그리고 언어재활사는 '식사'를 선택하였으며, 상위 5순위의 상황을 살펴보면 양육자와 언어재활사 모두 '가정생활'의 상황들이 높은 중요도 비율을 보였다. 아동연령별로 양육자 인식을 분석한 결과, 3세와 6세의 각 양육자 집단은 '가정생활' 그리고 4세와 5세의 각 양육자 집단은 '교육사회생활'을 가장 중요한 상위 상황으로 보았다. 전체 하위상황에서도 아동의 연령별로 양육자의 주요 상황에 대한 우선순위 인식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언어재활사가 스크립트를 활용한 언어중재를 실시할 때 아동의 연령과 발달수준 뿐만 아니라 양육자의 요구를 고려한 의사소통 상황의 선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CCTHCV_2019_v19n4_207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상하위 상황별 계층 구조

CCTHCV_2019_v19n4_207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쌍대비교 구조의 예

표 1. 연구에 참여한 양육자의 배경정보

CCTHCV_2019_v19n4_207_t0001.png 이미지

표 2. 연구에 참여한 언어재활사의 배경정보

CCTHCV_2019_v19n4_207_t0002.png 이미지

표 3. 양육자와 언어재활사의 상위 상황 우선순위

CCTHCV_2019_v19n4_207_t0003.png 이미지

표 4. 양육자와 언어재활사의 상위 상황별 하위 상황 우선순위

CCTHCV_2019_v19n4_207_t0004.png 이미지

표 5. 양육자와 언어재활사의 전체 하위 상황 우선순위

CCTHCV_2019_v19n4_207_t0005.png 이미지

표 6. 아동연령별 양육자의 상위 상황 우선순위

CCTHCV_2019_v19n4_207_t0006.png 이미지

표 7. 아동연령별 양육자의 상위 상황 하위 상황 우선순위

CCTHCV_2019_v19n4_207_t0007.png 이미지

표 8. 아동연령별 양육자의 전체 하위 상황 간 우선순위

CCTHCV_2019_v19n4_207_t0008.png 이미지

References

  1. J. B. Gleason and N. B. Ratner, The development of language, Pearson, 2013.
  2. 김영태,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학지사, 2015.
  3. P. Rhea and C. Norbury, Languaeg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and communicating, Morsby, 2011.
  4. R. E. Owen, Language Disorders: A Functional Approach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Pearson, 2010.
  5. P. J. Yoder, H. Spruytenburg, A. Edward, and B. Davies, "Effect of verbal routine contexts and expansions on gains in the mean length of utterance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Vol.26, pp.21-32, 1995. https://doi.org/10.1044/0161-1461.2601.21
  6. R. C. Schank and R. P. Abelson, Scripts, plans, goals, and understanding, Lawrence Erlbaum Associate, 1977.
  7. 김설영, 최윤희, "요리 스크립트를 이용한 대화 주고 받기 전략이 발달지체 유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pp.121-144, 2013.
  8. Y. T. Kim, Y. S. Yang, and B. Hwang, "Generalization effects of script-based intervention on language expression of preschool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Vol.36, No.4, pp.411-423, 2001.
  9. J. Lucariello, "Freeing talk from the here-and-now: the role of event knowledge and mental scaffolds," Topics in Language Disorders, Vol.10, No.3, pp.14-29, 1990. https://doi.org/10.1097/00011363-199006000-00004
  10. H. W. Lee and E. J. Hyun, "The intelligent robot contents for children with speech-language disorder,"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Vol.18, No.3, pp.100-113, 2015.
  11. 서유진, 박은실, 신혜정, "학령기 자폐범주장애 아동의 마음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스크립트 중재의 효과," 언어치료연구, 제27권, 제3호, pp.135-147, 2018.
  12. 이희주, 강수균, "난이도별 스크립트의 교차적 중재가 경도 정신지체아동의 표본발화 향상에 미치는 영향," 언어치료연구, 제9권, 제2호, pp.41-53, 2000.
  13. 박은혜, 이정은, "보완대체 의사소통체계 적용을 위한 상황 중심 핵심어휘 개발 연구," 재활복지, 제4권, 제1호, pp.96-122, 2000.
  14. J. G. Dolan, "Shared decision making-transferring research into practice: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Patient Education Counseling, Vol.73, No.3, pp.418-425, 2008. https://doi.org/10.1016/j.pec.2008.07.032
  15. T. L. Saaty, "On the relativity of relative measures-accommodating both rank preservation and rank reversals in the AHP," European J. of Operational Research, V.121, No.1, pp.205-212, 2000. https://doi.org/10.1016/S0377-2217(99)00040-5
  16. 김준혁, 서덕록, 최지연, 김한국, "AHP를 이용한 뇌융합 전략분야 발굴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36-44,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4.036
  17. 김정완, "자폐 장애 아동 보호자의 언어치료 교육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실태조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3호, pp.327-338,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3.327
  18. T. L. Saaty, "A scaling method for priorities in hierarchical structures," Journal of Mathematical Psychology, Vol.15, No.3, pp.234-281, 1977. https://doi.org/10.1016/0022-2496(77)90033-5
  19. http://www.index.go.kr/potal/stts/idxMain/selectPoSttsIdxMainPrint.do?idx_cd=3023&board_cd=INDX_001, 2019.1.4.
  20.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이화유치원, 이화유치원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1.즐거운 유치원(만4세), 교문사, 2011.
  21.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이화유치원, 이화유치원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1.즐거운 유치원(만5세), 교문사, 2011.
  22. L. M. Rossetti, Communication Intervention: Birth to Three, Clifton Park,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