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자치경찰제 도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roduction of Autonomous Police System in Korea

  • 성수영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 김상운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투고 : 2019.01.18
  • 심사 : 2019.03.25
  • 발행 : 2019.04.28

초록

본 연구는 2020년 광역단위 자치경찰 전국시행을 목표로 문재인 정부에서는 2017년 5월 10일 경찰개혁위원회를 발족시켜 자치경찰과 수사구조개혁을 추진하고 있으며, 아울러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전국확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2018년 4월 5일 학계, 시민단체, 법조계 등 총 9명의 구성된 자치경찰제 특별위원회를 발족하였다. 우리나라는 1991년에 지방의회가 구성되어 1995년에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와 함께 지역별 지방자치시대가 출범했지만 치안분야는 지방분권화를 가져오지 못했다. 본 연구는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자치경찰제 도입방안을 위한 조직 및 인력운영, 인사운영 및 사무배분, 재정운영 및 정치적 중립 확보 등에 대하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급격한 제도 도입에 따른 시민의 불안과 사회적 혼란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지방분권 제도와 국가경찰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자치경찰은 자치분권의 시대 흐름을 반영하여 보다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한 치안정책과 더불어 국가경찰과의 유기적인 협력과 상호경쟁시스템을 갖추어 지속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Police Reform Committee on May 10, 2017, with the aim of enforcing the nationwide autonomous police system in 2020. In addition, the government is promoting reforms of autonomous police and investigative structures, On April 5, 2018, a special committee of autonomous police system consisting of academics, civic groups, and legal professors was established. In 1991, the local council was established in Korea. In 1995, the local autonomous government era was launched with the election of local autonomous governors, but the field of security did not bring decentralization.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 of organization and manpower management, personnel management and distribution, financial management, and political neutrality in order to introduce autonomous police system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lso, it should be promoted in the direction of maximizing the advantages of the decentralization system and national police without causing civil unrest and social disorder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rapid system. Self-governing police should reflect on the trend of autonomous decentralization in order to secure the Republic of Korea with a more secure policing policy, along with organic cooperation and mutual competition system with the national police.

키워드

CCTHCV_2019_v19n4_573_f0001.png 이미지

그림 1. 국가·광역자치경찰 조직도(이원화)

CCTHCV_2019_v19n4_573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자치경찰본부장 임명절차 흐름도

참고문헌

  1. 김봉구,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의 효율화 방안,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 양영철, 자치경찰론, 서울 : 대영문화사, 2008.
  3. 이황우, 경찰행정학(제2판), 서울 : 법문사, 2001.
  4. 최종술, "우리나라 자치경찰제도 도입의 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정부학연구, 제8권 2호, p.85, 2002.
  5. 김규정, 행정학원론, 서울 : 법문사, 1999.
  6. Seuma Miller and John Blacker, Ethical Issues in Policing, Ashgate Publishing Limited, 2005.
  7. 최응렬, "자치경찰과 지방정부와의 관계,"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18권, 18호, pp.75-114, 2004.
  8. 최종술, "통합 창원시의 자치경찰 도입안 연구," 한국행정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p.123, 2010.
  9. 최종술, "우리나라 자치경찰제 도입의 쟁점과 경찰인력관리," 한국행정학회, 2004년 하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pp.123-124, 2004.
  10. 경찰청, "경찰개혁위원회 광역단위 자치경찰 권고안 및 경찰청 내부자료," 2018.
  11. 양영철, "자치경찰제 도입과정상 나타난 갈등과 해결방안, 행정자치부, 자치경찰제 추진평가 토론회,"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