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cognition of fabric sensibility related to fashion fabric image - Focusing on the visual tactility of the fabric -

패션소재이미지에 따른 직물감성의 인지 - 직물의 시각적 촉감을 중심으로 -

  • Kim, In-Hwa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 Park, Myung-Ja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김인화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대학원) ;
  • 박명자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20.01.31
  • Accepted : 2020.02.17
  • Published : 2020.02.28

Abstract

Classifying clothing fabrics into fashion images lacks research, but is necessary due to the short cycle of fashion and rapidly changing modern trends as consumers seek to satisfy various needs with an increase of online purchases. There is also a lack of research on fashion trend books which attach real fabric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help the planning field by recognizing fabric sensibility related to the fabric image perceived by consumers. The data analysis results from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using SPSS are as follows: Differences in the visual tactility evaluation related to the consumer recognized fabric images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W seasons. The elegance image was shown as relatively thick, the avant-garde image was shown as relatively heavy, thick fabric. The feminine image was shown as relatively thin and smooth fabric, the sporty images were shown to be moist, flexible and elastic, and the mannish images were relatively rough. The romantic images were shown as relatively thin fabrics. The conclusions inferred from the visual tactile evaluation related to the fabric images recognized by consumers vary by major, so the prior information concerning fabrics and trends can affect the selection of im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order to produce clothes suitable for fashion product planning by learning about visual tactility that consumers recognize, fabrics component data displayed in fashion trend books from 2016 to 2018 are needed, so the planner can receive help when selecting the fabrics suitable for each trend.

Keywords

References

  1. 고희자. (2016). 여성잡지 광고이미지에 니트의류가 미치는 영향. 패션과 니트, 14(3), 64-71.
  2. 김도연. (2001). 패션 트렌드 정보의 소비자 수용.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미진. (2013). 패션정보지에 나타난 직물의 구성 요소별 재질감과 이미지.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미진. (2013). 패션 정보지에 나타난 직물의 구성요소 분석 - 2002년-2012년을 중심으로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5(4), 129-142.
  5. 김성은. (2018). 현대 패션 시스템과 패션 트렌드 변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여원. (2015). 패션소재의 감성표현요소와 패션이미지 선호도의 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의경, 이미식. (2003). 의류소재의 주관적인 태평가 용어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11). 1279-1290.
  8. 김정화, 이정순. (2014). 레인코트용 자카드 직물의 소비자 요구도 및 패턴 이미지 감성 평가.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6(4), 645-652. https://doi.org/10.5805/SFTI.2014.16.4.645
  9. 김지나. (2008). 패션소재의 텍스타일디자인에 나타난 컬러와 트렌드 제안 컬러와의 비교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지선, 김방주. (2007). 시각적 촉감을 활용한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표현 요소와의 관계. 브랜드디자인학연구, 5(2), 79-92.
  11. 김혜숙. (2018).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패션 이미지별 뷰티 디자인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노경혜, 이경희. (2002). 소비자 착장 스타일에 나타난 패션 트렌드 수용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4(5), 465-472.
  13. 박미애, 조영아. (2004). 국내 패션 콜렉션에 나타난 트렌드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0(2), 39-47.
  14. 산업통상자원부. (1999). 사용자 인지능력 향상과 제품 사용성 확대를 위한 직관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발 및 실용화 방안 연구. 세종: 산업자원부.
  15. 서정아. (2014). 블랙 가죽 소재에 관한 시각적 촉감의 감성 이미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서희정. (2003). 패션 정보원과 정보 수용자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3(1), 97-97.
  17. 송윤. (2004). 패션 트렌드의 소재 이미지 경향 분석 : 여성복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오해순, 이경희. (2002). 의복재질의 시각적 감성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9), 1412-1423.
  19. 윤재심. (2012). 패션 소재 트렌드 분석과 수용에 관한 연구 : 2007 S/S - 2010 S/S 국내외 컬렉션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이명숙, 박순임. (2017).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플로럴패턴 분석 및 패션트렌드 반영 연구- 2012 S/S - 2017 S/S를 중심으로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9(2), 129-144.
  21. 이유미. (2011). 국내 니트 스트리트 패션에서 해외 컬렉션 수용 정도에 관한 연구 -2011 S/S시즌 중심으로-. 패션과 니트, 9(1), 57-71.
  22. 이인성. (2003). 패션정보지의 디자인 트렌드 예측과 소비자의 수용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10), 185-198.
  23. 이주영. (2013). 의복 및 화장유행선도력, 정보원과 지속적 정보탐색에 관한 연구. 패션 비즈니스, 17(1), 157-169.
  24. 이현지. (2018).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패션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임진희, 최경실. (2018). 패션 트렌드 정보원 프리미에르 비죵 색채 경향 분석 - 2011 F/W - 2016 S/S 시즌을 중심으로 -. 한국색채학회논문집, 32(2), 75-84.
  26. 장신영, 하지수. (2019). 패션 제품 소비자의 시각적 촉감 인지 특성 -니트웨어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1), 175-175.
  27. 정재훈, 황선정. (2015). 대학생들의 패션잡지정보 수용에 따른 패션상품 구입과 코디네이션에 관한 연구 -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중심으로 -. 한국브랜디자인학회지, 13(1), 29-40.
  28. 추선형. (2000). 색채와 질감에 의한 패션소재 이미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최유진. (2018). 뉴트럴로 인지되는 색채와 시각적 촉감 및 감성 이미지 간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최유진, 이윤진. (2017). 패션소재에 따른 그레이 컬러 감성이미지와 선호도. 한국색채학회논문집, 31(1), 93-102. https://doi.org/10.17289/JKSCS.31.1.201702.93
  31. 한정아. (2012).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선호 스타일 선택과 패션 브랜드 수용의 관련성. 한국디자인포럼, 34, 381-391.
  32. Peclers, P. (2016). Mode femme. Paris: Pec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