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rrent Status,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in Operating Support Projects for Childcare in Daycare Centers in the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코로나19 상황에서 육아종합지원센터 어린이집 지원사업 운영실태와 어려움 및 지원요구

  • 김경미 (서울신학대학교 아동보육학과)
  • Received : 2022.05.25
  • Accepted : 2022.07.18
  • Published : 2022.08.28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support projects for childcare in daycare centers operated by the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SCC)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find ways to improve and develop the project operation.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the 1st week to the 4th week of February 2022 with six childcare agents in charge of the support projects for childcare in daycare centers in the SCC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emand for diversification of project operation methods, expansion of non-face-to-face education, individual consulting, and small-scale education increased while operating the support projects for childcare in daycare centers in the SCC during the COVID-19 pandemic. Operational difficulties were found to be a lack of ability to use media, the burden of coping with unpredictable situations, and insufficient communication between daycare centers and childcare policy institutions. As for the support needs,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employ computer specialists, establish an environment for activating online education, and provide an efficient work delivery system in emergencies.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육아종합지원센터 어린이집 지원사업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운영 개선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소재의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어린이집 지원사업을 담당하는 보육전문요원 6인 대상으로 2022년 2월 1주부터 4주까지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상황에서 육아종합지원센터 어린이집 지원사업의 운영실태에 있어서는 사업 운영방식의 다양화, 비대면 교육 확대, 개별컨설팅 및 소규모 교육 요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상의 어려움은 미디어 활용 능력 부족, 예측 불가 상황에 대한 대처 부담, 어린이집과 보육정책기관 사이의 소통역할 미흡으로 나타났다. 지원 요구는 전산 전문인력 확보, 온라인교육 활성화를 위한 환경 구축, 긴급상황에서의 효율적 업무전달체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서론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19가 빌덩한테 3년째 접어든 2022년에도 감염 확산세가 지속ㅣ(고 있으며 사회 전반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 중대한'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국가적 재난 상황으로부터발발 아동 돌봄의 문제는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불거 15 시작하였고, 가정에서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뿐 0 ] 기관 차원에서의 돌봄 현장까지 영향을 받는 일종의 도미노 현상이 나타났다. 코로나19 펜데믹 현상으로승정 돌봄 기관들이 폐쇄되기 시작했고, 돌봄 위는국수 관한 국가적인 지원을 요구하는 현장의 목소리 ㅏ 더욱 커지고 있다.

코로나19 발생 시점 이후인 2020년 4월부터 보건복지부는 어린이집용 코로나19 유행 대비 대응지침을 지속 제정 및 배포하기 시작하였다. 어린이집은 정부의지침을 준수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으나 현장의 특성을 반영한 보다 체계적인 코로나19 대응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1][2]. 장기화된 코로나 19 상황에서 정부는 보육 현장의 변화와 특성을 반영한 적절한 정책 대응 방안을 마련해 코로나19로 인해급격히 위축되고 어려워진 시기를 겪는 어린이집에 더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코로나19 시기 전부터 정부는 어린이집에서 보육업무를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영유아보육법에 근거하여 보건복지부 산하의 육아종합지원센터를전국적으로 설치·운영(2021년 기준, 125개소)하였다. 특히 육아종합지원센터는 가정양육과 어린이집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심으로 수행하며, 그중에서도 어린이집지원사업은 보육교직원의 역량을 강화를 위한 다양한기능과 역할을 포함한다. 육아종합지원센터의 기능과역할 수행과 관련한 최근 연구[3]에서 센터가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보육 지원 공급체로서 제 역량을 다하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검토했는데, 기존에 운영하는 사업내용에 있어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며 꼭 필요한 사업에대한 질적 접근이 요구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토대로 볼 때 코로나19 시기를겪은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실태와 어려움 및 요구를 파악하여 보다 원활한 센터 업무지원에 대한 개선 및활

성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아쉽게도 코로나19 시기에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어린이집 지원사업 관련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유일한 연구는 센터의 가정양육 지원사업 관련 연구[4]이며, 코로나19 상황에서 가정양육 지원사업을 담당하는 직원의 어려움 및 요구를 조사하며 국가적 재난 상황 가운데 가정양육 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 전달체계, 센터 간 정보 공유, 온라인 서비스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시기에육아종합지원센터의 가정양육 지원사업 운영에 대한실태 파악은 가능하나 또 다른 사업의 큰 축인 어린이집 지원사업에 대한 현안 및 운영 정보는 파악하기 어 렵다.

유사 사례로 지역 중심의 복지사업을 펼치는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관련 연구[5][6]를 보면, 종사자들이 코로나19로 인해 사업 운영방식의 변화와 어려움을 겪으면서 사회적 변화에 따른 사업 전반의 재구조 화, 사업 노하우 공유 활성화, 재택 업무 등에 대한 현장의 지원을 필요로 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향후코로나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사업별 대응체계 구축, 변화한 사업방식에 적응할 인프라 확충, 종사자 전문성 향상 교육, 비대면 프로그램 성공사례 공유 등을 제안하였다[6] 국외 복지 분야의 연구[7]에서도 코로나19 가운데 돌봄 위기를 겪게 되면서도움이 필요하였던 기관에 정보를 제공하였을 때 제한적인 서비스 및 지원이 이루어진 것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이처럼 코로나19 시기에 사회의 전 분야에서 전례없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고군분투한 현장의 경험들은다가올 새 시대를 예측하고 준비하도록 재촉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육아종합지원센터의사업 방향 역시 앞으로의 보육환경, 보육정책 변화에따라 추가적으로 변화해야 할 것이다[8].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육아종합지원센터 어린이집 지원사업 운영실태를 알아보고, 사업 담당자가 인식한 사업 운영의 어려움 및 요구에 대해 파악해보고자 한다본 연구를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사회적 요구에따른 보육 현장의 필요를 이해하고 진일보한 발전을 위한아이디어를 얻는 발판을 마련하기를 기대한다.

이를 위한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연구 질문 1: 코로나19 상황에서 육아종합지원센터어린이집 지원사업 운영실태는 어떠한가? 연구 질문 2: 코로나19 상황에서 육아종합지원센터어린이집 지원사업 운영의 어려움 및 지원요구는 어떠 한가?

선행연

육아종합지원센터 어린이집 지원사업 운영실태와 관련하여 코로나19 이전 시기에 보고된 선행연구는 대부분 세부적인 사업별로 접근한 내용임을 확인할 수 있었 다. 어린이집 지원사업은 세부적으로 보육컨설팅, 보육 정보수집·제공, 교재교구대여, 보육교직원 상담, 어린이집 설치·운영 등에 관한 상담 및 컨설팅, 영유아 학대예 방교육, 보육교직원 교육 등을 포함하고 있다[9].

먼저,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보육교직원 교육과 관련한 연구[10]를 살펴보면, 다수의 보육교사들은 센터에서 실시하는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보육교직원 교육을 통해 보육 현장에 효과적으로적용하게 될 것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현[11]은 보육교사들은 주로 어린이집 평가에 대한 정보나 교육, 행사에 참여하기 위해 센터를 이용하며 현장의견을 반영하여 사업을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엄유미[12]는 어린이집 컨설팅 사업을 운영할 시 보다 전문적이고 질적인 컨설턴트 교육및 관리 체계를 갖추어 현장을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을제안하기도 하였다. 노은호와 최희양[13]도 보육교사를위한 체계적이고 심도있는 장학을 위한 기관으로써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역할과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 바 있다.

한편,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어린이집 지원사업 인력인 보육전문요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도 일부 발표되었 다. 이선미와 이민정[14]은 보육전문요원이 경험한 어린이집 지원사업의 의미에 대해 심층면담을 통해 알아 보았는데, 이들은 사업 수행의 과정에서 어린이집을 비롯한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책임감을 갖고,

이들을 돕는 과정에서 성취감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 다. 그러나 보육전문요원들은 현재 어린이집 지원사업이 현장의 보육교사들의 요구에 의해 실시되는 교육보다 대부분 정부 지침에 의해 들어야 하는 필수교육이나실적 중심으로 사업을 운영해야 하는 상황에 아쉬움을느끼고 있었다. 김보람[15]은 센터의 주요 사업을 수행하는 보육전문요원 업무가 점차 과중 되어가는 상황에대해 정책 제도적인 관심과 함께 이들의 근무환경 개선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함을 제안 하였다. 관련하여 김경미와 정혜욱[16]은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다양한 보육서비스의 전문화를 위하여 사업 인력을 대상으로 담당 업무의 역량 향상 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앞서 다룬 선행연구를 통해알수 있듯이 정부 및 지자체와 중앙센터 차원에서어린이집 지원사업을 수행하는 인력이 안정적으로 사업을 운영하도록 돕는 실질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즉, 육아종합지원센터 어린이집 지원사업에 관해서는전문가라고 칭하는 보육전문요원들이 가진 업무 인식수준은 센터의 사업 운영 방향에 밀접하게 연계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전반 사업 운영의 효과성을 알아본 연구도 발표되었는데, 조현정[8]은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지원기능 변천 과정을 3단계(센터의 구축기, 확 장기, 강화기)로 나누어 설명하며, 센터가 지역 내 육아지원 네트워크의 핵심기관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보다 구체적인 정책적 논의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육아종합지원센터의 향후 운영 방향에 대해서는미래사회를 들여다보고 그에 발맞춰 대비해 가는 것의중요성을 언급하였다. 정효정[3]은 육아종합지원센터가지역 내 보육지원의 전달체계로서 역할을 담당하는 기능이 부각되는 가운데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역량구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서는 어린이집 지원사업에 대한 양적인 확대보다는 내실을 기하는 질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또한, 코로나19 시기를 겪으며 어린이집 지원사업의주 타겟이 되는 보육 현장의 반응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1][17-201들도 다수 발표되었다. 임숙경과 이대균[17]은 코로나19 펜데믹 발생 이후 달라진 어린이집 운영 상황에 대한 명확한 정부 지침, 방역 업무에 대한 지

원과 예방 대책을 요구하며, 비대면 상황에서 효과적인소통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시급함을 지적하 였다. 박영아와 조미현[18]은 보육 현장을 반영한 정부의 효과적인 감염병 예방 및 관리 정책 수립이 필요하며 안전하고 위생적인 환경 유지에 대한 지원 및 가정과 연계한 공동 대응 시스템 구축, 교사들의 심신 건강을 위한 지원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코로나19 이후 보육교사가 경험한 직무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지원이 요구되었다는 연구[19]와 코로나19 상황으로 여러 어려움을 겪은 원장의 건강과 행복감을 늘려줄수있는 신체 활동적인 여가 활동이 필요하다는 연구[2]도 보고되었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어린이집 교사와 원장들은 코로나19로 인해 달라진 어린이집 일상 가운데 다양한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었고, 향후의 유사한 위기 상횡중에 체계적인 대응 방안 마련이 시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코로나19와 같은 상황에서 어린이집을직·간접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어린이집 지원사업 운영실태와 사업 인력 지원에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또한, 현재까지 발표된 선행연구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육아종합지원선터 어린이집 지원사업 및 담당자의 어려움과 요구에 관련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방법

연구참여자

연구참여자는 서울, 경기지역 소재의 육아종합지원센터에 재직 중인 보육전문요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보육전문요원은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사업 전담인력으로 센터의 주 업무인 어린이집 지원사업을 수행하는 직책을 말한다. 육아종합지원센터와 관련한 선행연구[4][21] [22]에서 설정한 심층면담 인원 기준과 동일하게 설정하였고 다음 조건에 부합하는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의 근무경력 및 어린이집 지원사업 담당 경력 3년 이상인 자를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 및 내용에 대해 의도적 표집방법을 통해 모집 하고, 이에 동의를 표한 총 6인(6개소)의 보육전문요원

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에 대한 일반적인배경은 [표 1]과 같다.

연구에 참여한 보육전문요원의 연령대는 40대 비중이 66.7%로 가장 많았고, 총 보육업무경력은 평균 12 년, 육아종합지원센터 근무경력은 평균 7.8년, 어린이집 지원사업 담당 경력은 평균 5.7년으로 나타났다.

2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육아종합지원센터의어린이집 지원사업을 운영한 보육전문요원들의 다양한경험을 질적으로 탐색하고자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면담 방식은 반구조화된 면담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면담을 위한 질문 내용은 본 연구의주제가 다루어지도록 구성하되 참여자들의 경험과 의견을 깊이 있게 청취하는 유연성에 있어 반 구조화된형태로 개발하였다. 사전에 준비된 질문 내용은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10년이상 재직한 센터장, 팀장 각 1인에게 문항 적합성에 대해 검토를 받았다. 면담 질문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육아종합지원센터 어린이집 지원사업의 운영실태, 어린이집 지원사업 운영의 어려움 및지원요구 등으로 구성하였다. 면담 시 활용한 사전질문내용은 다음 [표 2]와 같다.

3. 연구절차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2022년 2월 1주부터 2월 4 주까지 4주간 개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에 앞서 미리 준비한 질문지를 참여자의 메일 혹은 SNS를통해 발송하였다. 면담 방식은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온라인 플랫폼(Zoom)을 활용하였으며, 음성 녹음및 기록에 대해 사전 안내하였다. 면담 소요 시간은 1 인 50분~90분 정도 이루어졌으며, 면담 내용은 A4용지 67장 분량으로 전사되었다. 전사된 자료의 명확성을기하기 위해 녹취된 자료를 재검토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연구자 외에 접근이 불가한 개인용 pc에 저장하 였고, 연구에 대한 참여를 중단하여도 참여자에게 불이익이 없음을 안내하였다.

자료 분석은 Glaser와 Strauss[23]의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자와 전문가 집단은 전사 자료를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의미 있고 유사한내용을 유목화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 과정을 거쳐 면담 내용을 범주화한 결과 3개 상위 주제(코로나19 상황에서 육아종합지원센터 어린이집 지원 사업 운영실태, 어려움, 지원요구)와 총 11개의 하위 주제(비대면 교육으로의 전환, 비대면 교육의 효과와 만족도, 소규모사업및 개별컨설팅 증가, 미디어 이용 능력 및 정보 부족, 예측불가 상황에 대한 대처 부담, 온라인교육을 위한환경조성 미흡, 소통경로 부족, 전산 인력 확보, 온라인기반 교육환경 마련, 현장 요구를 반영한 미디어교육 실시, 긴급상황에서의 효율적 업무전달체계 필요)가 도 출되었다.

둘째, 도출된 범주를 재검토하면서 해당 범주의 주제를좀 더 포괄할 수 있는 상위 범주 안으로 구획하였다. 해당 자료를 반복적으로 살펴보며, 면담 내용에 대한보다 명확한 의미를 찾아 재배치하였다. 모든 분석적

의사결정은 문서화 하였으며, 해석과정의 투명성을 기하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범주의 재배치 과정에서 크게세 가지 하위 범주로 보완되었는데, 구체적으로 기존'비대면 교육으로의 전환' 주제는 연구참여자의 보완 의견을 통해 코로나19 시기 육아종합지원센터 사업 운영방식이 비대면으로 완전히 대체된 상황이라고 볼수 없어 대면과 비대면 사업방식의 병행'으로 수정하였다. 어려움으로 나타난 소통경로 부족'에 대한 하위 주제는 코로나19 상황을 겪으며 현장의 소리를 전달하는 체계를 보다 구체화 시킨 어린이집과 보육정책기관 사이의소통역할 미흡'으로 보완하였다. 기존 온라인교육을 위한 환경조성'과 '온라인 기반 교육환경 마련'에 대한 내용은 통합하여 지원 요구로써 온라인교육 활성화를 위한 환경 구축'으로 재 범주화하였다. 최종 3개 상위 주제와 각 주제 내 3개씩 총 9개의 하위 주제로 범주화되 었는데, 코로나19 상황에서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어린이집 운영실태(사업 운영방식의 다양화, 비대면 교육 확대, 개별컨설팅 및 소규모 교육 요구 증가), 어려움(미디어 활용 능력 부족, 예측 불가 상황에 대한 대처 부담, 어린이집과 보육정책기관 사이의 소통역할 미흡), 지원요구(전산 전문인력 확보, 온라인교육 활성화를 위한 환경 구축, 긴급상황에서의 효율적 업무전달체계 필요)로 설정하였다.

셋째, 분석 과정에서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은 내용에대해서는 연구참여자에게 해당 의미에 대한 추가적인 전화, 메일, 문자 등을 통해 보완하였다. 자료 분석 절차전 과정은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보육 및 유아교육 전공 분야에서 질적 연구의 경험이 있는 박사학위 소지자인 전문가 2인(육아종합지원센터장 1인, 아동보육과 교수 1인)에게 검토받는 절차를 거쳐최종 완료하였다. 또한, 면담자료를 분석한 내용을 연구참여자에게 확인하여 연구 결과에 대한 해석 타당도를 점검하였다.

IV 연구결괴

1. 코로나19 상황에서 육아종합지원센터 어린이집 지원사업 운영실태

1.1. 사업 운영방식의 다양화

코로나19 상황에서 어린이집 지원사업은 대부분 비대면과 대면 사업 운영방식을 병행하고 있는 것으로나 타났다. 보육전문요원들은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기존 사업은 비대면 사업으로 전환하고, 추이가 완화될 상황을 대비하여 대면과 비대면 사업의 가능성을 모두 고려하여 계획하고 있음을 언급하였다.

보육교직원 교육은 초기에 코로나가 안정될 때까지는 연기하거나 취소하였다가 하반기로 갈수록 확산되니까 기존사업에서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고 대집단 행사와집단교육을 온라인 실시간 화상이나 유튜브 영상교육으로전환하게 되었어요. (A보육전문요원)

(A코크인트프런) 코로나 상황이 어떻게 보면 끝날 수도 있겠다 싶으니까, 금 두 방향을 같이 잡고 가는 것 같아요. 대면이랑 비대이랑 다 가능성을 열어두고 가는 것 같아요. (B보육전문요원)

방역패스를 적용해서 인원도 10명 이내 소수로 해서 대면과 비대면 교육을 병행하는 안이 나왔는데. 정부나 지자체 지침에 또 어떻게 적용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저희는 병행하는 것으로 준비되어 있긴 해요 (C보육전문요원)

어린이집 지원사업 중 일부 교육 사업에 한하여 대면으로 진행하고 있었는데, 대면 교육사업은 개인 방역을준수하여 방문 컨설팅이나 대면 출석으로만 인정되는 필수교육(예. 심폐소생술)이 해당되었다.

심폐소생술 실습 같은 경우는 강사라든지, 자체 소방서규정이라든지 이런 부분이 있어서 강사랑 참석자랑 공간을분리해서 실습을 진행하는 상황이에요 (D보육전문요원)

한편, B보육전문요원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어린이집지원사업은 교육 내용이 달라졌다기보다 교육 방법 면에서 다양화가 되었다'라고 말하였다. 즉, 기존에 대면

으로 진행되던 어린이집 보육교직원 교육 사업들이 온라인상에서 대부분 실시되는 상황이었다.

1.2. 비대면 교육확대

보육전문요원들은 비대면으로 실시된 보육교직원 교육에 대한 효과에 대해 언급하기도 하였다. 먼저, 비대면 교육의 긍정적인 효과로는 교육 참여 인원 제한 완 화, 교육여건(교통 불편, 장거리)이 불편한 강사 섭외 가능, 참여자의 교육 장소이동 번거로움이 해소된 점이 었다.

숨(Zoom)으로 신행하다 보니까 많은 사람이 교육에 잠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어요. 예전에는 어린이집에서 여러 명이 듣고 싶어도 1명밖에 못 보냈다면 이제는 다수 교사들이 교육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죠. (E보육전문요원)

먼 지역에 계시는 교수님도 섭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요 대면 교육을 할 때 지역이 멀면, 모시는데 서로 부담스러울 수 있는데 지역에 구애받지 않고 강사를 섭외할 수 있는 것은 장점인 것 같아요. (F보육전문요원)

선생님들이 교육받으러 센터까지 오시지 않아도 되잖아 요.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해보면 이동 거리가 줄어서 너무좋아하시는 거예요. (C보육전문요원)

비대면 교육의 단점은 잠여한 교사늘의 교육 집중도 저하, 기관마다 다른 온라인교육 지원환경(물리적, 인적환경)의 차이를 이야기하였다. 또, 보육전문요원들은 어린이집 환경 여건에 따라 보육공간과 분리된 장소가부족해 교사들이 교육을 듣는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음을 전하였다. D보육전문요원은 대면 교육으로 진행할때는 교사들이 교육 장소로 와서 강의를 들어 집중할수 있지만, 비대면 교육 시에는 보육업무와 교육상황이명확히 구별되지 않아 강의에 집중하는데 어려워함을 언급하였다.

어린이집마다 사정이 너무 다르더라고요. 공간이 충분한어린이집이 있고. 그렇지 않은 어린이집. 대체인력이 충분한 어린이집이 있고 그렇지 않은 어린이집이 있잖아요. 교육 시간이나 장소가 확보되면 좋은데 가정이나 민간 같은경우에는 분리된 공간이 없기에 어려움을 호소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셨어요. (F보육전문요원)

대면교육을 진행할 때는 교사들이 어쩔 수 없이 아이들과 분리된 환경에서 교육을 들을 수 있어서 집중할 수 있었 어요. 그런데 아이들이 하원 하지 않은 한 선생님들은 보육에도 신경써야 되고 교육도 듣고 싶고, 또 강사와 좀 더소통하면서 듣고 싶었는데. 그런 부분이 안된다는 것을 아쉬워하는 것 같아요. (D보육전문요원)

한편, 보육전문요원들은 온라인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시도한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기도 하였다. F보육전문요원은 영상으로 촬영하여 기한내 시청하도록 하는 방식은 교육 효과성이 떨어진다고 인식해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플랫폼을 활용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C보육전문요원은 교사들의 온라인교육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강사에게 플랫폼 채팅창이나 소그룹 토의시간을 마련하도록 사전 제안하기도 하였다.

영상 공유방식은 교육 효과성으로 봤을 때 저희가 전혀파악할 수가 없더라고요. 영상을 틀어놓고 더 바쁜 일을 처리할 수도 있고, 성실하게 수강했는지 여부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지난 이후부터는 거의 실시간으로 진행하고 있어요. 실시간도 교사들이 열심히 듣고 있기를 믿는 거죠. (F보육전문요원)

강사님께 선생님들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도록 채팅창을활용한 논의 거리를 한 번씩 제시해 주시면 좋겠다고 말씀드리거나 줌에서 소그룹으로 그룹 활동을 할수 있잖아요. 이런 부분을 활용해서 소통하는 교육을 해달라고 요청하기도 하죠. (C보육전문요원)

1.3. 개별컨설팅 및 소규모 교육 요구 증가

위드코로나 시대로 접어들며 코로나 확진자 수가늘어난 상황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발생 초기보다 어린이집 지원사업의 소규모 교육이나 개별컨설팅의 요구는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E보육전문요원은 개별컨설팅사업일 경우, 단독 기관 대상으로 진행되기에 보육 현장에서 선호한다고 이야기하였다. 지속화된 코로나19 로 인해 어린이집 간 교류가 적어 다양한 현장 사례 중심의 소그룹 워크샵 형태의 교육 요구가 늘어난 것으로 여겨진다.

어린이집들끼리 섞이면 부모들이 굉장히 두려워하지만한 어린이집만 진행하는 것에 대해서는 크게 이견이 없으신 것 같고요. 한 어린이집 대상으로 해주는 상담이나 컨설팅은 여전히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요 (E보육전문요원)

올해부터 온라인 컨설팅을 준비하고 있어요. 신청자가있으면 서류는 메일로 받고 문서로 피드백을 해드리고, 상호작용은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면서 피드백을 하고 있어요. 외부인 출입을 좀 꺼리는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지원해드리려고 해요. (D보육전문요원)

사례 중심의 교육을 많이 요구하더라고요 사실 그런교육들은 현장 상황과 같이 이야기했을 때 더 효과가 극대화되는 것 같아서 줌에 소회의실을 활용해서 소그룹 워크샵으로 진행하려고 해요. (F보육전문요원)

2. 코로나19 상황에서 육아종합지원센터 어린이집 지원사업 운영의 어려움

2.1. 미디어 활용 능력부족

코로나19로 인해 사업 운영방식이 변화함에 따라 교육 진행에 있어 사업 담당자들은 미디어 활용 능력이부족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미디어 활용능력 부족은 교육 만족도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 며, 결국 교육에 참여한 보육교직원들에게 신속한 응대를 하지 못함을 안타깝게 인식하였다.

교사마다 스마트폰 노트북, pc 접속하는 환경이 다 다른 데, 교육 진행하는 직원들도 사용이 익숙하지 않아서 오류가 생성되게 되면 오류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들이 없는 거죠 어쨌든 교사들이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안내를 드려야 되는데. 안내해주는 담당 직원들조차 확실하게 처리할줄 아는 사람이 없는 것이에요. (D보육전문요원)

부딪치면서 알아가는 것 같아요. 미디어 교육하는 것에대해 교육을 받은 적도 없고 닥쳐서 알아가고 있어요. 사업 담당자들마다 미디어를 다루는 능력치가 다르다 보니어떤 상황에서는 대처가 미흡해 만족도가 엄청 낮게 나오기도 해요. (E보육전문요원)

2.2. 예측불가 상황에 대한 대처부담

코로나19 상황에서 사업 운영 방식이 변화하는 것에대한 부가적인 업무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보육전문요원은 대면과 비대면 업무 상황을 대비하고 있으나 촉박한 시일을 두고 운영방식을 변경해야 할 때가 가장 힘들다고 토로하였다. C보육전문요원 역시 사업 형태를 전환할 때 부수적으로 따라오는업무가 큰 부담으로 다가온다고 이야기하였다. F보육전문요원은 비대면 교육상황에서 교육 참여자들의 초상권이나 교육자료의 저작권 등 보호가 필요한 안을 검토하는 업무가 부담되며, 대처 방안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것까지 많은 시행착오를 경험하였음을 지적하였다.

계획이 틀어지는게 가장 힘들어요. 담당자로서 2가지 상황을 항상 염두해야 하고. 계획을 세워놓아봤자 한... 7~ 2일 전에 다 틀어지니까. 대면이나 화상으로 준비하는게 다르잖아요. 행사도 자료나 뭐나 다 달라지니까. 변경상황이 나왔을 때 그 점이 너무 힘든 것 같긴 해요. (B보육전문요원)

지자체 기준이 바뀌고 바뀐 것에 대해서 언제나 저희가딱 시작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야 하는 거예요. 처음엔 비대면으로 계획했는데, 어느 시점에서 다시 대면으로 할수 있는 시점이 왔을 때, 그때 바로 전환해야 하는 것에 따라부

수적으로 따라오는 업무들... 이런 일이 잦다 보니까 한 번하면 될 일을 두 번 하는 상황이죠. (C보육전문요원)

대면으로 할 때는 발생하지 않았던 교육 시 초상권이나저작권의 문제들이 처음엔 많이 혼란스러웠던 것 같아요. 영상을 공유하는 상황에서도 혹시나 수강자들이 7 영상을유출하거나 녹화를 하거나 하는 것에 대해서 간과할 수가 없으니까. 그런 부분을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를 찾아가면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던 것 같아요. (F보육전문요원)

2.3. 어린이집과 보육정책기관 사이의 소통 역할 미흡

코로나19 상황을 겪으며 어린이집 지원사업 운영에있어 육아종합지원센터가 어린이집 현장과 보육정책기관 사이의 소통역할을 수행하는 것에 미흡했다고 인식 하였다. D보육전문요원은 코로나19 확산세로 인해 어린이집 평가지침이 지역에 따라 달리 적용된 경우가 있 었는데, 정작 센터에서는 그 사안을 미처 인지하지 못해 당황했던 경험을 이야기하였다. 또한, F보육전문요원은 어린이집으로 안내된 정부의 대응 지침들이 센터의사업 담당자에게는 뒤늦게 전달되어 어린이집 보육교직원들에게 적절히 응대하지 못한 경험을 토로하였다.

코로나 시기에 시군구마다 평가사업 진행 상황이 좀달 랐어요. 어떤 시군구에서는 평가사업을 진행하지 않았던 거예요. 이런 상황을 저희도 명확하게 알고 있어야 하는데...전달되지 않아서 당황했어요. (D보육전문요원)

어린이집으로 안내된 지침 사항이 센터에는 좀 더디게내려와서 그런 과정에서 혼란을 겪게 돼요. 어린이집에서저희한테 문의했는데 저희는 모르고 있기도 해요. (F보육전문요원)

한편, A보육전문요원은 지역 내 어린이집에서 코로 나19 확진자가 발생하자 기관 휴원 등으로 인해 보육현장과 소통이 중단되고, 담당자로서 향후 사업 운영방향에 대한 갈피를 잡지 못해 헤매던 경험을 이야기하

며 펜데믹 상황에서 어린이집을 지원하는 센터의 역할이 원활하지 않았음을 안타깝게 인식하였다.

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한 초반에 진짜 공포스러웠던 사회적 분위기가 있었잖아요. 어린이집에서 우리를 찾지 않는 거예요. 어린이집도 정체되어 있고 아이들은 나오지 않고. 센터에 연락도 안 오고 어린이집 사업은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었죠. (A보육전문요원)

3. 코로나19 상황에서 육아종합지원센터 어린이집 지원사업에 대한 지원 요구

3.1. 전산 전문인력 확보

코로나19로 인해 급변한 시대, 사회적 상황에 따라육아종합지원센터의 어린이집 지원사업을 운영하기 위해 미디어 활용 능력이 탁월한 전문인력 확보가 시급한것으로 나타났다. E보육전문요원은 변화하는 흐름속에서 육아종합지원센터 직원들의 미디어 활용 업무능력향상을 위한 교육이 지원되어야 하며, 센터 내 해당 전문인력이 지원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C보육전문요원도 센터 직원의 개인 업무역량 증진도 중요하나, 온라인 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활용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전산 인력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드러냈다.

플랫폼들이 다양해지는데 우리는 어디서 교육을 받아야 하나... 많이 생각하고 있어요. 앞으로 점점 비대면으로 가고 미디어 교육이 계속될 것이라면 전문적으로 다루어 줄인력이 센터에 있어야 할 것 같아요. (E보육전문요원)

시대 변화에 맞춰서 매체나 프로그램 활용이라든지, 뭔가 개발을 해야 한다든지, 그걸 관리할 수 있는 인력이 필 요해요. 개개 직원 역량도 중요하지만, 기술적인 부분은 전문가가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어요. (C보육전문요원)

3.2. 온라인교육 활성화를 위한 환경 구축

코로나19 상황 가운데 어린이집 지원사업을 수행하는데육아종합지원센터의 온라인교육 환경 구축을위

한 지원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C, E보육전문요원은 온라인교육을 진행하면서 인터넷 네트워크망이 불안정한 경우가 발생해 사업 담당자로서 당황스러웠던경험을 이야기하였다. 올해에도 대체로 온라인교육으로시행되기에 센터의 인터넷 환경을 정비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를 위한 예산지원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좋은 인터넷 인프라를 가지고 있지 않아요. 인터넷이 끊기지 않게 잘 이용을 하려면 인력과 장비구입에 대한 예산지원이 필요할 것 같아요. (C보육전문요원)

네트워크 상황이 안 좋을 때가 있어요. 랜선 사용이 더안정적인데 와이파이를 사용해서 교육하다 보면 끊기기도하고 진행이 원활하지 않는 상황이 생기는 거죠. (E보육전문요원)

한편, B보육전문요원은 코로나19 이후 어린이집 지원사업 운영방식이 비대면으로 대부분 전환되면서 보육 현장의 높은 편의성을 가져다주었고, 향후 그 변화와 기대는 더욱 커질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A보육전문요원도 현재 온라인교육 방식은 지속될 것으로 예측하며 기존에 활용한 플랫폼 외에도 또 다른 플랫폼들을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특히, 코로나19와같은 전염병 팬데믹 상황에서 원활한 센터사업 운영을위한 업무지원시스템 도입이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 였다.

줌을 활용하게 되면서 간편한 장점들을 교사들도 이제다 알고 있잖아요. 앞으로도 병행해서 가지 않을까...하는생각이 들어요. 줌을 활용한 교육들이 아예 사라지거나 그러진 않을 것 같아요. (B보육전문요원)

감염병 위기 상황 3년차를 맞이하고 있기에 현재 운영방식이 지속될 수 있을 것 같아요. 향후 줌이나 유튜브에 국한되지 않고 메타버스 플랫폼, 업무지원시스템 통합으로 재택근무, 미래형 운영방식이 도입된다면 좀 더 원활한 센터 사업 운영이 진행될 것이라고 생각해요. (A보육전문요원)

3.3. 긴급상황에서의 효율적 업무전달체계 필요

보육전문요원들은 코로나19 상황 가운데 어린이집지원사업 운영에 있어 보건복지부, 한국보육진흥원, 육 아종합지원센터, 어린이집 등 보육 정책기관과 현장과의 업무 전달체계가 보다 유기적으로 연동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C보육전문요원은 코로나 상황에서어린이집을 평가하는 지표(예. 부모모니터링, 대체사업열린 어린이집 평가 등) 항목이 개선되지 않고 기존대로 적용되었다고 지적하였다. 그는 현장과 정부 기관이유기적으로 연결되었다면 비대면 전환 시점에 필요한긴급 사안들을 원활히 신속하게 처리하게 될 것이라고 믿었다.

센터는 어린이집 현장을 컨설팅하는 입장인데, 어린이집의 요구를 정부나 기관에 전달할 수 있는 방법들이 좀 없어 요. 그런 경로를 열어줘야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할 수 있을텐데...라는 아쉬움이 좀 있지요. 유기적으로 좀 관계들이연결이 되야지, 특히 비대면 전환의 시점에서 필요한 것들을 다 같이 얘기를 나눠야 하는데, 그 부분이 좀 막혀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C보육전문요원)

D보육전문요원도 마찬가지로 긴급 재난 상황에서 어린이집에 내려준 보육 정책 사안들이 동일하게 센터의어린이집 지원사업 담당자들에게도 공유되어야 현장에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중앙센터나 진흥원 아니면 복지부라든지 센터에도 어린이집에 내린 공문을 똑같이 보내주셔서 보육 관계자들이동일하게 인지할 수 있게끔 하면 좋을 것 같아요. (D보육전문요원)

끝으로, B보육전문요원은 변화하는 시대에 따라 어린이집이 잘 적응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중요하다'라고 보았고, E보육전문요원은 코로나19 발생이후 3년째 접어들었지만 '여전히 익숙하지 않은 것같은 새로운 과제들이 날마다 던져지는 것 같다'라고표현하며 향후 어린이집 지원사업의 새로운 시도들은지속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V. 논 의 및 결 론

본 연구의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육아종합지원센터 어린이집 지원사업 운영실태를 살펴보면 코로나19 확산 추이를 반영한 사업 운영방식의 다양화, 비대면 교육의 확대, 개별컨설팅 및 소규모 교육에 대한 요구가 증가한 것을알 수 있다. 둘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육아종합지원센터 어린이집 지원사업 운영에 대한 어려움은 미디어 활용 능력 부족, 코로나19로 인해 야기된 예측 불가한 상황에 대한 대처 부담, 어린이집과 보육정책기관 사이에서 소통의 역할이 미흡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요구는 미디어 활용 능력을 갖춘 전산 전문인력 확보, 온라인교육사업 활성화를 위한 환경 구축, 코로나19와 같은위급 상황에서의 효율적인 보육서비스 업무전달체계가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코 로나19 시기에 어린이집 지원사업 담당자들에게 취약하게 나타난 미디어 활용 능력에 대한 집중 훈련과함께변화하는 현장 반응에 따른 지속적인 업무지원이 필요 하다. 육아종합지원센터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사전 준비 없이 어린이집 지원사업의대부분을 비대면 방식으로 즉시 전환해야 하는 상황이 었다. 특히 현장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보육전문요원들은 이전과 다른 방식으로 담당한 사업을 문제없이 처리해야 하는 상황 가운데 직무 역량의 부족을 인식하였고 [4], 어린이집 역시 코로나19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영상 콘텐츠 제작, 영상 소통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방법들을 시도하면서 교사의 디지털 역량 증진이시급한 상황임을 알 수 있었다[24]. 이선미와 이대균[21]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앞으로 온라인 보육 가능성과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사회복지 분야에서 발표된 연구[25]에서도 코로나19 이후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이 직무만족도 측면에서 소진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들은 종사자 간, 센터 간의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온라인 플랫폼과 앱, 미디어 기기 활용과관련된 재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언급한 것[6] 역시연구자의 주장과 유사한 결과이다.

정리하면,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역할과 기능적 측면에서 어린이집 지원 인력은 보육교직원들을 직접적으로지원하는 위치에 있기에 각종 사회적 위기 상황이 발생할시 어린이집 현장을 깊이 살펴 선도적으로 응대하도록 훈련될 필요가 있다. 제안하기로는 코로나19 이후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복잡해진 어린이집 지원사업 운영방식에 있어 사업 인력들이 현장에서 경험했던 어려움과 요구 사안을 다룬 교육을 상시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앙 및 시도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는 지역내 보육 현장 반응에 따른 최신 정책정보를 공유하고, 주요 사업 인력을 위한 교육을 총괄적으로 관리해야 한 다. 그래야만 육아종합지원센터가 지자체 형편에 따른보육서비스 수준에 영향을 받지 않고,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사업을 진행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센터인력에 대한 교육적 지원을 위해서는 거점센터 운영을통해 비상 상황을 대비한 센터 인력 대상의 상시 훈련과정 운영, 전문가 멘토링 등 체계적 지원시스템이 구축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육아종합지원센터의어린이집 지원사업은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대부분 진행되었고, 이러한 방식은 코로나19가 종식되어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향후 안정적인 온라인 교육및 정보 사업 운영을 위한 전산 인력 및 시설설비 등네트워크 환경 지원에 대한 검토가 시급하다. 선행연구[26]에서 코로나19 종식 후에도 보육교사들이 시간에구애받지 않고 교육 및 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온라인교육 방법의 다양화 방안이 요구된다는 결과와 상통하는 맥락이다. 그러나 2년 이상 지속된 코로나19 사태로인해 비대면 교육사업이 유지됨에 따라 각 센터마다 온라인 시스템 관리 측면에 대한 부족한 여건들이 여실히 드러났다.

또, 센터 내 전산 전문인력의 부재는 온라인 교육사업의 운영 어려움을 더욱 부각한 요인으로 작동하기도 하였다. 관련하여 코로나19 시기에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의 어려움을 알아본 연구[6]에서 향후 물리적 인프라 개선, 참여자의 데이터 사용권 확보, 미디어 기기 보급 등의 비대면 사업을 위한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한 것과 유사한 주장이다. 본 연구에서도 교사들이 센터에서 운영하는 교육플랫

폼에 접속한 상태에서 네트워크 불안정으로 데이터가정지되거나 끊어지는 등의 오류를 경험하였고, 그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센터 직원들이 적절히 대응하지못했던 사례가 있었다. 온라인 교육환경 지원과 관련해허묘연[27]의 연구에서 코로나19 시기를 거치며 안정적인 온라인 수업을 위해 온라인 서버나 네트워크, 보안 등의 인프라 구축에 투자 지원이 필요하고, 온라인교육환경의 제반 요건을 갖추는 것에 명확한 규정과 정책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한 것이 본연구자의 주장을 지지하고 있다.

한편, 현재 전국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다양한 어린이집 지원사업은 지자체의 여건이나 예산 배정에 따라 큰 영향을 받고 있다. 즉, 한정된 예산과 인력으로는 내실있는 역할 수행이 어렵고 직원들의 업무부담을 가중 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28]. 이에육아종합지원센터가 보건복지부 산하기관으로 보육 정책을 전국 단위로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공공기관인 만큼 향후 온라인교육 및 정보 사업을 원활히운영할 수 있도록 지역 센터별 네트워크 구축 현안에따라 정부 및 지자체의 특별 예산지원 및 확보를 적극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육아종합지원센터가 코로나19와 같은 예측불가한 위기 상황에 안정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어린이집과 보육정책기관 사이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소통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존에 이루어졌던 보육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한 효율성 제고가 요구된다. 이러한제안은 박인숙과 배지현[26]의 연구에서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해 보육 현장의 상황을 반영한 보다 융통적이고 탄력적인 제도와 정책 운영이 필요함을 밝힌 견해와도 유사한 맥락이다. 또, 윤민아와 채영란[24]은 코로나 19 상황에서 어린이집은 운영상 많은 어려움을 경험했 으며, 이로 인해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이 절실히 필요했고 실질적으로 현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견해를 도출한 것 역시 본연구자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관련하여 코로나19 시기보육교사 대상으로 진행한 선행연구[17]에 의하면, 감염병 상황에 필요한 정부의 명확한 지침과 보육교직원의 근무 여건 매뉴얼, 어린이집 방역소독에 대한 예산지원 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지원이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향후 긴급상황 발생 시에도 어린이집 자체적으로 좀 더 체계적인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보았다. 사회복지 분야 연구[29]서도도 노인일자리 사업 수행기관 종사자들이 위드코로나 시대의 대응 방안으로 현장의 상황이 반영된 매뉴얼 및 평가기준 도입, 비상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네트워크 형성등을 제언한 것은 본 연구자의 주장을 지지하는 견해이다.

또 하나의 문제점은 코로나19 상황에서 보육 현장을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대응 지침이 수시로 어린이집으로 하달되었는데, 이 지침들이 어린이집 지원 업무가주 역할인 육아종합지원센터에는 적시에 전달되지 않은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 것이다. 센터 직원들은 매번한발 늦은 보육 정보로 인해 어린이집을 지원하는 센터의 주된 기능과 역할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였다는 아쉬운 목소리를 드러낸 바 있다. 기존 연구[4]에서 코로 나19 사태 중에 정부의 정책이 현장과 맞물려 능동적으로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중앙 및 시도,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가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사업별 실무진간 소통창구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하였다. 다시 말해, 시도 및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의 견고한협력체계는 시도 보육 정책의 원활한 수행과 내실있는시군구 센터의 지원에 대한 시너지를 유발할 것으로 예 상된다[28].

한편, 정책 전달체계의 효율성 제고와 관련한 연구는유아교육 및 사회복지 분야에서 실시한 연구[6][30]에서도 일부 다루어졌다. 선행연구[30]에 의하면, 코로나19를 비롯한 향후 감염병 사태에 대응하려면 유치원현장의 니즈(needs)를 적절히 파악해 지원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현장과 교육부 및 교육지원청간의 적극적인 소통체계 구축이 요구된다는 것이 본 연구자의 주장을 지지하고 있다. 다른 연구[31]에서는 코 로나19 위기 상황에서 노인 긴급돌봄 이용자 대상의서비스 지원 공백 최소화를 위해 사회서비스원의 제도적 기반과 조직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서비스 전달체계구축이 선제적으로 필요하다고 제안한 바 있다.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두고 조사한 연구[6]에서도코로나19와 같은 전국적인 위기 상황 발생에 신속 대응하는 의사결정 단위 구성이 필요한데, 현재 상황을반영한 정부의 대응 지침이 센터에 신속하게 전달될수

있는 체계가 구축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정리하면, 코로나19와 같은 국가적 위기 상황 속에서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어린이집 사업을 운영할 수 있는보육서비스 전달체계의 효율성 제고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는 육아종합지원센터 운영 내실화 방안에 대한보고서[32]에서 센터의 사업이 중앙정부에서 추구하는보육정책과 동일한 기조를 유지하여 효과성을 높일수있도록 중앙정부 사업과의 연계를 적극적으로 고려할필요가 있다는 주장과 상통한다. 즉, 육아종합지원센터가 중앙정부 및 지자체 보육 정책에 대한 중심 전달체계로서 기능과 역할을 제대로 발휘하려면 행정 및 현장관계자들과의 충분한 소통과 공감대 형성을 통해 보육정책의 추진력을 확보할 때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를통해 향후 코로나19와 같은 위기 상황 시에도 육아종합지원센터는 관할 지역 내 보육 현장 상황을 신속하게파악하며 우선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어린이집 지원사업을 선별하여 보다 효과적인 보육서비스를 제공할 수있어야 한다.

넷째, 코로나19 시기에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어린이집 지원사업에서 현장으로 제공된 수많은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와 개선을 위한 질 관리가 필요하다 코로나19로 인해 급작스럽게 마련된 온라인 교육사업들이 보육 현장에서 원활하게 작동되었는지, 교육 내용이 제대로 전달되었는지에 대해 평가하고 검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더불어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는주요 사업 대상인 보육교직원의 의견을 수시로 듣고 반영하여 이들이 유익하고 편리하게 교육사업에 참여할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다 김미영[33]은 연구에서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학습이 보편화되면서 실제 학습자들이 도움을 받았는지에 대해 규명이 필요하 며, 이를 통해 향후 온라인 학습의 효과적 발전 방안을제시할 것임을 주장한 것은 본 연구자와 유사한 견해이 다. 육아종합지원센터는 코로나19 상황 가운데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급작스럽게 진행할 수밖에 없었던 온라인 학습 성과를 다시 검토해 봄으로써 어린이집 온라인 교육사업 활성화 방안에 대한 기초를 견고하게 세워야 할 것이다.

또한, 코로나19 상황에서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어린이집 지원사업에 대한 온라인 콘텐츠 및 플랫폼 활용

등 새로운 온라인 기술과 서비스 사용이 매우 증가한 상황이다. 전국 육아종합지원센터 사업결과보고I34UI35] 에 의하면, 2019년과 2021년에 이루어진 홍보 및 정보제공 사업 실적 비교를 통해 사업 운영방식의 변화를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코로나19 시기를 겪으며 센터에서는 홍보물 제작 및 방법, SNS 개설 현황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상승 수치를 보였다. 이 결과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센터의 온라인 서비스 환경이 크게 확장된 것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운영하는 웹사이트를 조사한 연구[36]에서도 이제는 단순구축 여부를 넘어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적인 측면을점검해야 할 시점에 도달했으며, 웹서비스 기능을 상시점검하고 평가할 수 있는 운영지침 및 가이드라인 수립되어 지속적인 웹서비스 개선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한바 있다. 다시 말해, 코로나19라는 특수한 조건에서진행된 어린이집 지원사업들은 기존 운영방식과 다르게 온라인 서비스를 적극 활용해 다양한 시도를 적용했기 때문에 운영의 이면에서 매우 불안정했거나 미흡한사례가 분명히 존재할 것이고, 이를 점검할 관리 감독체계가 요구된다.

끝으로, 육아종합지원센터 어린이집 지원사업의 활성화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새로운 시대 변화를마주하는 센터 직원들의 인식개선이 요구된다. 코로나19로 인해 달라진 보육 현장과 같이 육아종합지원센터사업의 전반 기능과 역할도 변화의 바람을 맞이하고 있다는 것을 기민하게 인지해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해E보육전문요원은 '이제 익숙한 것은 없다. 계속해서 새로운 상황에서 생각하지 못한 일들이 생길 것이고 빨리적응해야지만 센터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앞으로 상황이 어떻게 바뀔지 모르니 그 상황이 되면 빨리 유연하게 대처해야 한다'라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특히, 어린이집 지원사업은 국가의 정책 변화나 사회 분위기에매우 민감하기에 이를 대비할 센터 직원 훈련과 함께기존 비대면 온라인 교육사업에 대한 더 나은 진화가필요할 것이다.

당으로 803037.7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육아종합지원센터가 소재한 지역적 특성에 따른 차이 혹은사업 담당 경력에 따른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업무 대처 능력에 대한 차이 등을 본 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하

였기에 이러한 세부 배경에 따른 결과 차이를 함께 살펴보는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둘째, 코로나19 시기에전국 센터 간 교류가 많이 줄어 지역 센터 간 직무의 간극을 보완하거나 강화할 기회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 다. 더 나아가 코로나19 상황에서 센터마다 비대면 사업을 운영하며 다른 지역 센터로 확산 및 보급 가능한우수사례 연구보고도 진행되길 기대한다. 셋째, 전국 센터를 대상으로 코로나19 상황을 겪으면서 다양한 센터사업 운영에 대해 직원들이 인지한 어려움과 요구를파악해보는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넷째, 코로나19와 같은 위기 상황 이후에, 다양한 보육 관계자들이인식하는 센터와 어린이집 지원사업의 중요도와 수행에 대한 차이를 비교해 보는 연구를 통해 국가의 보육정책 실현 방향과 어린이집 현장 요구를 균형적으로 예측하고 지원하도록 돕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기 대한다.

References

  1. 김은혜, 이복군, "코로나 19 상황에서 보육교사가 마주한 어려움,"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141-145, 2021.
  2. 김영심, "코로나19가 수도권 어린이집 원장의 삶과 어린이집 운영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제28권, 제4호, pp.227-251, 2021.
  3. 정효정, "육아종합지원센터 어린이집 지원사업의 효과성에 대한 논점," 한국영유아보육학, 제125권, pp.203-239, 2020.
  4. 김경미, "코로나 19 상황에서 육아종합지원센터 가정양육 지원사업 운영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제7호, pp.271-287, 2021.
  5. 구수연, "COVID-19 팬데믹 기간 동안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 실태와 지원요구," 다문화콘텐츠연구, 제36권, pp.7-43, 2021.
  6. 진미정, 고선강, 박정윤, "코로나 19 시기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 실태 및 비대면 프로그램지속 의향 영향 요인 탐색: 종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가정과삶의질연구, 제39권, 제1호, pp.97-111, 2021.
  7. B. Jentsch and B. Schnock, "Child welfare in the midst of the coronavirus pandemic-Emerging evidence from Germany," Child abuse & neglect, Vol.110, No.2, pp.1-10, 2020.
  8. 조현정, 육아종합지원센터 지원기능의 활성화 탐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9. 보건복지부, 보육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2022.
  10. 최진령, 김인순, "육아종합지원센터 보육교직원 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4호, pp.405-428, 2017.
  11. 이미현. "보육교사의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 참여와 발전 방안에 대한 인식 -과천시를 중심으로,"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6권, 제3호, pp.89-109, 2015.
  12. 엄유미, 육아종합지원센터 평가인증 컨서런트 교육에 대한 컨설턴트의 인식 및 지원 요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3. 노은호, 최희양, "보육교사의 장학을 위한 보육정보센터의 기능 강화 방안," 한국보육학회지, 제9권, 제1호, pp.49-49, 2009.
  14. 이선미, 이민정, "육아종합지원센터 보육전문요원의 어린이집 지원 사업 경험의 의미," 아동교육, 제26권, 제1호, pp.87-104, 2017.
  15. 김보람, 육아종합지원센터 가정양육지원사업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서울 자치구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6. 김경미, 정혜욱, "육아종합지원센터 가정양육 지원사업 담당 보육전문요원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호, 제17호, pp.203-231, 2019.
  17. 임숙경, 이대균,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를 마주하는 보육교사의 일상 이야기,"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6권, 제4호, pp.295-319, 2021.
  18. 박영아, 조미현, "어린이집의 코로나-19 대응 현황과 어려움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제125권, pp.145-172, 2021.
  19. 명준희, 송지훈, 이혜정, "코로나 19 상황이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제30권, 제1호, pp.35-44, 2021.
  20. 김설화, 조지현, 최은정, "보육교사의 COVID-19로 인한 직무스트레스, COVID-19에 대한 두려움, 코로나우울의 관계에서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45-163, 2021.
  21. 이선미, 이대균, "코로나19를 경험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천 및 제안에 대한 질적 탐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23권, 제1호, pp.325-352, 2022.
  22. 조혜진, 고은미, "보육컨설턴트가 경험한 어린이집 보육컨설팅의 의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0권, 제4호, pp.73-97, 2015.
  23. B. G. Glaser and A. L. Strauss,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New York: Aldine Publishing Company, 1967.
  24. 윤민아, 채영란, "코로나19 상황에서 어린이집 원장이 수행한 중점역할과 코로나 상황의 의미에 대한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제26권, 제2호, pp.53-72, 2022.
  25. 안은미, 안영미, 정익중,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 코로나 19 전후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60권, 제2호, pp.499-525, 2021.
  26. 박인숙, 배지현,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코로나19 대응 관련 원장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한국영유아보육학, 제125권, pp.1-23, 2020.
  27. 허묘연, "언택트 교육의 시대: 온라인 교육을 위한 준비,"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제9권, 제3호, pp.315-325, 2020.
  28. 이자형, 김성순, 부산광역시육아종합지원센터 기능 및 역할 재정립 방안, 부산: 부산여성가족개발원, 2022.
  29. 이연주, "코로나19 시기, 노인일자리 실천현장경험: 대구, 경북지역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종사자의 경험과 과제를 중심으로 위드코로나를 준비하며," 노인복지연구, 제76권, 제4호, pp.35-79, 2021.
  30. 유정인, 이민영, 김경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에 따른 공립유치원의 운영실태와 지원요구 조사," 어린이미디어연구, 제20권, 제1호, pp.249-276, 2021.
  31. 문용필, "코로나19 유행상황에서 노인 긴급돌봄서비스에 관한 시론적 고찰,"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22권, 제11호, pp.744-753, 2021.
  32. 유해미, 박창현, 박기원, 육아종합지원센터 이용 실태 및 운영 내실화 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015.
  33. 김미영, "코로나19로 인한 대학 글쓰기 강좌의 원격 화상수업화에 따른 문제점과 대응책-2020학년도 1학기 홍익대<논리적 사고와 글쓰기> 강좌의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과학, 제120권, pp.5-29, 2020. https://doi.org/10.23017/INMUN.2020.120..5
  34.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2019년 전국육아종합지원센터 사업결과보고서, 서울: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2020.
  35.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2021년 전국육아종합지원센터 사업결과보고서, 서울: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2022.
  36. 김경미, 정혜욱,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웹사이트 서비스현황 분석," 한국보육학회, 제18권, 제2호, pp.217-230,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