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Mentoring Function, Self-Concep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Adaptation

멘토링 기능, 자아개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Ji-Won Yoon (CHARIS College of Liberal Arts, Changshin University) ;
  • Mee-Ra Park (Dept. of nursing, Changshin University) ;
  • Nam-Joo Je (Dept. of nursing, Changshin University)
  • 윤지원 (창신대학교 카리스교양대학) ;
  • 박미라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
  • 제남주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24.02.25
  • Accepted : 2024.04.03
  • Published : 2024.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basic data to help college students adapt to college life by grasping the effects of mentoring skills, self-concep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adapt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7 to January 27, 2024, targeting college students from one university in C city located in G-do.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entoring function of the subjects averaged 4.11 points (out of 5 points), the self-concept was 4.29 points (out of 5 points),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4.04 points (out of 5 points), the major satisfaction was 4.45 points (out of 5 points), and the college life adaptation was 3.91 points (out of 5 points). The factor that most influenced the subjec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llowed by self-concept, mentoring function, and major-art fiel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70.2%. Specifically,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higher the self-concept, and the higher the mentoring function, the higher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non-curricular programs) are needed to adapt to college life for college students, and subsequent studies ne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s.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Changshin University Research Fund of 2022-031.

References

  1. 김봉환, 강은희, 강혜영, 공윤정, 김영빈, 김희수, 선혜연, 손은형, 송재홍, 유현실, 이제경, 임은미, 황매향, "진로상담", 서울: 학지사, (2013).
  2. S. J. Armstrong, C. W. Allison, & J. Ha yes, "Formal Mentoring System",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3, no.1, pp.5-78, (2002).
  3. 이준표, "대학의 멘토링 시스템이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 K. E. Kram, "Phases of Mentor Relationship",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26, pp.607-625, (1983).
  5. R. J. Burke, "Mentoring in Organizations." Group and Organization studies, 9. (1984).
  6. T. A. Scandura, "Mentorship and Career mobility: An Empir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3, pp.169-174, (1992).
  7. 임신웅,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자아개념, 셀프리더십 및 대학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순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3).
  8. 고영주, 김남석,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4, pp.301-308, (2020).
  9. 이종찬,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0. 어윤경, "청소년기 진로상담 만족도, 대학 전공만족도 및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분석: 대학 전공선택 요인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vol.12, no.5, pp.1793-1811, (2011).
  11. 송윤정,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2. 박선영,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우울 및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13. 송미라, "간호사의 조직 의사소통, 사건보고가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4. 이기학, 이학주,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 정도에 대한 예언 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 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2, no.1, pp.127-136, (2000).
  15. 김혜수,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적응 매개효과", 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6. 박상연, 권수현, 김성의, 현영섭, "대학생 멘토의 멘토링 기능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주도성의 매개효과: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휴먼웨어 연구, vol. 4, no.2, pp.53-81, (2021).
  17. 정채린, 문일봉, 김영근, 최성우, "방사선과 교수의 멘토링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 9, pp.613-621, (2014).
  18. S. E. Oh, S. Y. Kim, J. Y. Lee, "The Effects of Mentoring Experience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Leadership",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JKEIA), Vol.9, No.4, pp.243-251, (2015).
  19. 취진연,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진로스트레스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취업진로연구, vol.10, no.4, pp.49-74, (2020).
  20. 김은영, 성소연,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결정효능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 응의 구조적 관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9, pp.535-554, (2023).
  21. 조혜영,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소속학과 및 대학 만족도, 대학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vol.24, no.5, pp.250-259, (2023).
  22. 임미혜, "간호대학생의 인성,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아개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8, pp.560-568, (2016).
  23. 권은경,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5, no. 5, pp.189-195, (2017).
  24. 이세리, "1, 2학년 여대생의 학교 스포츠 참여에 따른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5. 김효정,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자기주도학습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26. 최보라, 모화숙,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 결정효능감, 대학생활적응과 취업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pp.939-955, (2018).
  27. 박인숙, 김혜경,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 및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2, pp.511-519,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