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hagnum fens in Mt. Odae : I. Sowhangbyungsan-neup

오대산 물이끼 이탄습지의 생태특성: I. 소황병산늪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o reveal conservation value of Sowhangbyungsan-neup among wetlands in Mt. Odae designated as a Ramsar convention site in 2008, ec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The maximum depth of sediment was 86cm and average at central part was 56cm. Average pH of water was 5.8 and this indicates that this wetland has the characteristics between bog and fen. Average electron conductivity was $11{\mu}S$/cm, which is the lowest among Korean wetlands. Nutrient status was oligotrophic based on contents of cation, nitrate, ammonia, soluble reactive phosphorus in water. Out-flow of water was related with the 3 day cumulative precipitation. Soil texture was loam and nutrient level was very low. Vascular plants of 45 family, 95 genus, 121 species, 2 subspecies, 16 variety, 4 forma, total 121 taxa were recorded. Main plant communities on Sphagnum base were Osmunda cinnamomea community, Carex dispalata community and Carex curta commun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is wetland has very different ecological characteristics than others in Korea and deserves conservation value well. Also,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is no evident threatening factor and this wetland will have characteristics of fen continuously in near future.

람사르 습지로 지정된 오대산 습지 중 소황병산늪의 보존가치를 찾기 위해 생태특성을 조사하였다. 소황병산늪의 퇴적토 깊이는 최대 86cm이었으며 중간부에서 평균 53cm로 나타났다. 물의 pH는 평균 5.8로 산성이 탄습지와 이탄습지의 중간정도를 나타내었다. 전기전도도는 $11{\mu}S$/cm로 우리나라 습지 중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양이온, 질산, 암모니아, 인산 분석 결과 수질은 매우 양호하였다. 유출수량은 3일간 누적 강수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연중 지속적으로 물이 유출되었다. 주변토양은 사양토로 토양 양분은 매우 적었으며, 산성도는 높았다. 유관속 식물은 45과 95속 121종, 2아종, 16변종, 4품종으로 총 121종류로 조사되었으며, 하부의 물이끼를 바탕으로 삿갓사초, 꿩고비, 산사초 군락이 넓게 분포하였다. 조사결과 소황병산늪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온전한 이탄습지로 그 보존 가치가 뛰어나며, 수질, 토양 분석 결과 빈영양상태를 나타내고 위협요인 또한 거의 없으므로 이탄습지가 지속적으로 발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Bray, R. H., Kurtz, L. T. 1945. Determination of total, organic and extracted forms of phosphorus in soil. Soil Sciences Vol. 59, pp. 39-45. https://doi.org/10.1097/00010694-194501000-00006
  2. Carter, M. R. 1993. Soil sampling and methods of analysis. Florida, Lewis Publishers.
  3. Kim, J. G., Lee, Y. W. 2005. Recent vegetation history and environmental changes in Wangdeungjae moor of Mt. Jiri. Korean Journal of Ecology Vol 28 Issue 3 pp. 121-127. https://doi.org/10.5141/JEFB.2005.28.3.121
  4. Mitsch, W. J., Gosselink, J. G. 2007. Wetlands 3rd edtion. John Wiley & Sons, Inc.
  5. 대암산 고층습원 생태계 조사단. 1988. 대암산 자연생태계 조사보고서. 환경청
  6. 구본학. 2002. 습지 유형 분류 및 도면화 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국립공원관리공단 오대산관리사무소. 2002. 오대산 국립공원 습지생태계 모니터링(3차)보고서.
  8. 국립공원관리공단 오대산사무소. 2008. 오대산국립공원 자원 모니터링(4차년도).
  9. 국립공원관리공단 지리산관리사무소. 1999. 지리산 왕등재습지 조사 (수질 및 토양환경) 모니터링 결과보고서(3차).
  10. 국립공원관리공단 지리산동부관리사무소. 1997. 지리산국립공원 1차 지리산 왕등재습지 생태계 (관속식물상, 곤충상, 식생구조, 토양환경, 수환경).
  11. 국립공원관리공단 지리산동부관리사무소. 1998. 지리산국립공원 지리산 왕등재습지 생태계 (관속 식물상, 곤충상, 식생구조, 토양환경, 수환경) 모니터링 결과보고서 (2차).
  12. 김재근, 박정호, 최병진, 심재한, 권기진, 이양우, 이보아, 주은정. 2004. 생태조사방법론. 보문당.
  13. 김재근. 2003. 습지생태계의 보전과 복원. 자연보전 123권 pp. 44-54.
  14. 박정원, 박재충, 김진희, 송재영. 2008. 지리산 왕등재습지의 담수조류 분포와 역할. 한국습지학회지 10권 2호 pp. 15-22.
  15. 진득환. 2006. 습지보전 현황과 대책. 2006 세계 습지의 날 기념 특별세미나 및 심포지엄 자료집. 해양수산부 환경부 순천시, pp. 117-127.
  16. 최기룡. 1998. 한반도 후빙기의 저지대 식생사. 한국생태학회지 21권 2호 pp. 169-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