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ing the Design-phased VE Process of Public Clients in Relation to Using Critical Success Factors

핵심성공요인과 연계한 공공발주기관의 설계VE 프로세스 개선에 관한 연구

  • 박희대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 통합과정) ;
  • 한승헌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김성수 (한국가스공사 자원본부 LNG사업팀)
  • Received : 2009.03.16
  • Accepted : 2009.04.19
  • Published : 2009.05.31

Abstract

The major changes in construction environment are that construction project is bigger and more complicated and the power of construction market changes from the supplier to the client or the user. Especially public construction enterprises have advanced to introduce the value engineering (VE) which is one of the cost management based on the owner's leading at the design phase for economical efficiency and quality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these efforts, the implementation of VE was legislated in the revised Construction Technology Management Act in 2000, governmental agencies, local autonomies, and construction public enterprises universally has taken the VE into consideration. In this circumstance, the scope that VE construction applied at 50 billion won projects from 2003 has been extended to 10 billion won projects in 2006. Therefore, the VE construction will be activated in the future. The cost savings and function improvement, which are the purpose of VE are not only construction public enterprises, but also every public client supported from government's budget or owned by the govern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improved process and performance index of VE for governmental agencies, local autonomies, and construction public enterprises which want to introduce or improve the VE process. This research also suggested the To-be design-phased VE process model. In addition, it suggested the To-be model of design management reflected the To-be design-phased VE process model, which is eliminated two problems reflected for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As-is model of design management.

우리나라 건설사업은 점차 대형화되고 복잡화되는 가운데 예산 및 원가절감에 대한 압박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정부와 공공발주기관들은 경제성 및 품질 향상에 부응하기 위한 발주자 주도의 원가관리기법인 '설계VE(Value Engineering)'을 도입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국토해양부는 2000년 3월 건설기술관리법시행령을 통해 총공사비 500억원 이상의 1종 시설물 공사에 대하여 설계VE를 의무화하였고 2006년 1월부터는 총공사비 100억원 이상 공사로 그 대상을 확대하였다. 또한 정부는 '경영혁신기본법'과 '공공기관운영에관한법률' 제정을 통해 공공발주기관의 경영혁신 필요성을 제고하고 있어 설계VE의 도입 필요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발주기관의 설계VE 성공과 매우 밀접한 7개 부문 총 19개의 핵심성공요인(Critical Success Factors, CSFs)을 도출하고, 10개의 주요기능을 도출한 후 프로세스 모델링기법을 활용하여 공공발주기관의 개선된 설계VE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연구에서 제시된 프로세스는 공공발주기관인 G사의 사례 연구를 통해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설계VE를 이미 시행하고 있거나 새로 도입하고자 하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및 기타 공기업들이 보다 효과적인 설계VE 프로세스를 도입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대준(1998) 설계단계에서 가치공학 기법을 적용한 프로세스 모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 구재동(2000) 설계관리 실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 국토해양부 건설환경팀(2006) 설계VE 업무 매뉴얼.
  4. 권태수(2004) 건설VE의 최적대안 선정방법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5. 김문한(2005) 건설경영공학, 기문당.
  6. 김상범, 최정원(2004) 설계VE 프로세스와 성과분석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5D호, pp. 749-757.
  7. 김수용, 양진국(2006) 건설프로젝트의 설계VE업무의 중점관리요인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7권 제1호, pp. 128-137.
  8. 김종필(2005) 주공의 공동주택 VE 성과 및 발전방향, 건설관리 기술과 동향, pp. 20-22.
  9. 김희선(2004) Event, State, Rule을 고려한 BPMN 기반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과학기술원.
  10. 민경석(2001) 건설프로젝트의 VE를 위한 Job Plan과 성능평가, 건설관리 기술과 동향, pp. 9-15.
  11. 박찬식(2003) 한국건설산업에 VE기법의 효율적 적용을 위한 제언, 건설관리 기술과 동향, pp. 62-64.
  12. 박현, 송지영(2000) VE방법론과 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구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
  13. 서동수(2005) VE기법을 적용한 PC단열 외피구조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14. 신재원, 김태완, 배정익(2006) 설계 협업과정에서의 효과적인 설계관리를 위한 정보 중심의 설계 업무 프로세스 모델링 기법 제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2권 제8호, pp. 589-592.
  15. 이교선(2003) 건설프로젝트의 가치향상을 위한 VE정책 방향, 건설관리 기술과 동향, pp. 31-34.
  16. 이도형(2005) VE 현황 및 발전방안, 건설관리 기술과 동향, pp. 3-8.
  17. 이영환, 장철기, 구본상(2006) 도로 건설 현장 인력瀟蕩 실태 분석 및 최적화 방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pp. 1-143.
  18. 전재열(2003) 건축설계 초기단계에서 VE대상 선정방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9권 제2호, pp. 123-130.
  19. 최석인(2001) 건설VE 프로젝트에서 효과적인 FAST 적용방안 및 FAST 작성 전산모델,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 최석인, 김상범(2005) 국내건설 VE의 지속적인 향상을 위한 제언, 건설관리 기술과 동향, pp. 28-31.
  21. 한관희, 황태일(2003) UML/XML 기반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정의 도구, IE Interface, 제16권 제2호, pp. 156-166.
  22. 한국가스공사(2006) 설계VE 시행결과보고서 (2006년도 1차), 한국가스공사 내부보고서.
  23. 한국가스공사(2006) 설계VE 시행결과보고서 (2006년도 2차), 한국가스공사 내부보고서.
  24. 한국가스공사(2007) 2007년도 Best & First 추진실적 중 VE실적, 한국가스공사 내부보고서.
  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0) 건설VE 매뉴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6. 한정우(2001) 업무 표준화를 위한 프로세스모델링 방법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7. 황재일(1997) IBM의 한국적 정보전략계획 수립방법론, (주)나경문화, 서울.
  28. Bedian, M. P. (2004) Value Engineering? During Construction, GeoSupport Conference Proceedings, Orlando, Florida, pp. 52-69.
  29.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Vol. 28, No. 4, pp.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30. Male, S., Kelly, J., Fernie, S., Gronqvist, M., and Bowles, G., (1998) Value management benchmark : A good practice framework for clients and practitioners, Thomas Telford, London.
  31. Shen, Q. and Liu, G. (2003)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Value Management Studies in Constructio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29, No. 5, pp. 485-491.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3)129:5(485)
  32. Omigbodun, A. (2001) Value Engineering and Optimal Building Projects, Journal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Vol. 7, Issue 2, pp. 40-43. https://doi.org/10.1061/(ASCE)1076-0431(2001)7:2(40)
  33. Qiping Shen and Guiwen Liu, (2003)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Value Management Studies in Constructio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September/October, pp. 485-491.
  34. Waxse, J. A., Osterberg, J., and Qudus, O. (2004) Drilled Shaft Value Engineering Delivers Success to Wahoo, Nebraska Bridge, GeoSupport Conference Proceedings, Orlando, Florida, pp. 289-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