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the model textbook based on storytelling : the case of 'Inquiry into History of Mathematics' type

'수학사탐구형' 고등학교 스토리텔링 모델 교과서 개발 사례

  • Received : 2013.04.09
  • Accepted : 2013.08.19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Among five types of the model textbook based on storytelling, the type of 'Inquiry into history of Mathematics' focuses on adapting the logic of mathematical discovery to the organization of mathematical contents. It enables students to recognize that mathematics has been developed by human needs and creativity while they are engaged in the story about knowledge formation. Moreover the textbook offers the context in which students are able to understand mathematical insights and logics hidden in the subject matter, so that they can reinvent and develop mathematical knowledge. In this study, we found the principles for development of the textbook based on storytelling for 'Inquiry into History of Mathematics' by analyzing the chapter about 'Complex number and Quadratic Equations' of the model textbook. The chapter was implemented in classroom environment and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matter and their perception on the textbook based on storytelling were surveyed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The results showed the possibilities of adapting the textbook based on storytelling and we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수학사탐구형 스토리텔링 교과서는 수학의 발달 과정에서 드러나는 발견의 논리를 교과서의 구성 원리와 내용 전개에 적용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지식이 만들어져 가는 과정에 학생들이 흥미롭게 접근하도록 하여 수학이 인간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지식이며, 인간의 창의적 사고로 인해 만들어지는 지식임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학습 내용 이면에 숨어있는 수학적 통찰과 논리를 이해할 수 있게 하고 그것을 활용하여 새로운 수학적 지식을 만들어갈 수 있는 맥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수학사탐구형으로 개발된 '복소수와 이차방정식'단원의 개발 절차와 사례를 통해 스토리텔링 수학교과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현장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며 앞으로의 스토리텔링 교과서 개발에 있어 함의점을 제공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오남 외 (2012). 고등학교 스토리텔링 모델 교과서 개발 (연구 계획서 No. 060000). 한국과학창의재단.
  2. 권오남 외 (2013) 고등학교 스토리텔링 모델 교과서 개발 최종보고서(한국과학창의재단 2013-8). 한국과학창의재단.
  3. 김기원, 조지선 (2004). 기수법에서 수학사를 활용한 교수-학습자료 개발. 신라대 자연과학연구소, 13, 1-14.
  4. 김해규 (2002). 제 7차 교육과정 초등수학교과서 도형영역에서 활용 가능한 수학사 학습 자료. 제주교육대학교 논문집, 31, 61-107.
  5. 박정미․노영순 (2005).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수학사 자료 비교 분석: 함수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8(4), 445-458.
  6. 백석윤 (1990). 수학사와 수학 교육과정, 과학교육연구 16, 21-35.
  7. 백영미 (2007).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초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소화 (2012) 스토리텔링 기반 교수설계원리 및 모형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9. 백조현․박수홍․강문숙 (2010). 스토리텔링 기반 수학과 수업 설계 전략 모형 개발 -확률통계를 중심으로, 교육혁신 연구, 20(1), 113-141.
  10. 심상길 (2009). 교과서 연립방정식 단원에 제시된 수학사의 소재 분석 및 교수학적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11(3), 415-429.
  11. 심상길 (2010). 수학사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4(3), 831-842.
  12. 야마모토 요시타카 (2010). 16세기 문화혁명. 남윤호 역. 동아시아.
  13. 양종숙 (2010). 수학사 활용 수업이 학습 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오영범․박상섭 (2010). 초등학교 수학과 개념학습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 학습 콘텐츠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4(4), 537-545.
  15. 유현주 (1999). 수학사와 수학교육, 학교수학, 1(1), 245-259.
  16. 윤대원․박선정 (2006). 수학사 및 예화자료를 활용한 교수학습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 -수학1 수열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0(3),343-359.
  17. 이수창 (2009). 수학사를 활용한 미적분학 지도자료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진 (2009). 교과서의 수학사와 실생활 문제 활용분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엄상미․이경화 (2006). 수학사를 활용한 수업에서의 수학학습 태도와 수학 학습과정, 교원교육, 22(4), 135-150.
  20. Balakrishnan, C. (2008). Teaching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hrough storytelling. Simon Fraser University.
  21. Branford (1908) A Study of Mathematical Education, including The Teaching of Arithmetic. Oxford, Clarendon press.
  22. Cooper, P. J., & Simonds, C, J. (2007). Communication for the Classroom Teacher (8th Edition). Allyn & Bacon,Inc. 이창덕, 전인숙, 이정우, 김주영, 김지연 역(2010). 교실 의사소통 -효과적인 교실. 교육과학사
  23. Egan, K. (1997). Educated mind: How congnitive toools shape our understanding. Shicago; Lond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4. Egan, K. (2005). An Imaginative Approach to Teaching.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5. Fauvel, J., & Van Maanen, J. (2000). History in mathematics education: An ICMI Study.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26. Freudentha, H. (1973). Mathematics as an Educational Task. Dordrecht: D. Reidel Publishing Company.
  27. Goral, M. B., & Gnadinger, C. M. (2006). Using storytelling to teach mathematics concepts, Australian Primary Mathematics Classroom, 11(1), 4-8.
  28. Grootendorst, A.W. (1982). De geschiedenis van de wiskunde en het onderwijs in de wiskunde, Wiskunde en Onderwijs 8(30) , 287-306.
  29. Klein, F.(1908). Elementary Mathematics from an Advanced Standpoint. English translation undated. New York: Dover.
  30. Mazur, B., & Pesic, P. (2005). On mathematics, imagination & the beauty of numbers. Daedalus, 134(2), 124-130. https://doi.org/10.1162/0011526053887365
  31. Poincare, H. (1908). Science et Methode. New York: Dovr. 김형보, 오병승 역(1982). 과학의 방법. 서울: 단대출판부.
  32. Pramling, N., Pramling, I., & Samuelsson, N.(2008). Identifying and solving problems: Making sense of basic mathema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40(1), 65-79.
  33. Senechal, M. (2005). Mathematics as narrative at mykonos. Retrieved July 12, 2006.
  34. Siu, M.K. (2007). No, I don't use history of mathematics in my class. Why? In F.Furinghetti, S. Kaijser, & C. Tzanakis (Eds.), Proceedings HPM2004 & ESU4 (revised edition, pp. 268-277). Uppsala: Uppsala Universitet.
  35. Zazkis, R., & Liljedahl, P. (2008). Teaching mathematics as storytelling. Rotterdam: Sense Publishers.

Cited by

  1. 중학교 2학년 수학 교과서의 수학 과제 분석 - 스토리텔링 유형을 고려하여 - vol.29, pp.3, 2013, https://doi.org/10.7468/jksmee.2015.29.3.281
  2. 중등수학 교과서가 다루는 미적분 역사 서술의 비판과 대안 - 17세기까지의 미적분의 역사를 중심으로 - vol.31, pp.2, 2017, https://doi.org/10.7468/jksmee.2017.31.2.139
  3. 중국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수학사 내용 분석 vol.31, pp.5, 2013, https://doi.org/10.14477/jhm.2018.31.5.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