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of Right-side Homonymous Hemianopia in a Stroke Patient Treated by Traditional Korean Medical Treatment

우측 반맹을 호소하는 환자 치험 1례

  • Ey, Yoo-lee (Dept. of Cardiology and Neurology,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Son, Jeong-hwa (Dept. of Cardiology and Neurology,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Park, Min-jeong (Dept. of Cardiology and Neurology,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Cho, Ki-ho (Dept. of Cardiology and Neurology,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Moon, Sang-kwan (Dept. of Cardiology and Neurology,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Jung, Woo-sang (Dept. of Cardiology and Neurology,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이유리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방순환신경내과학교실) ;
  • 손정화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방순환신경내과학교실) ;
  • 박민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방순환신경내과학교실) ;
  • 조기호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방순환신경내과학교실) ;
  • 문상관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방순환신경내과학교실) ;
  • 정우상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방순환신경내과학교실)
  • Received : 2016.03.28
  • Accepted : 2016.05.18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presents a case of a 56-year-old Korean male with right-side hemianopia due to stroke. Homonymous hemianopia represents a visual field defect related to loss of vision in all or part of the left or right visual field in both eyes; treatment options for this condition are limited.Method: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cupuncture, moxibustion, herbal medicine (Yangguksanhwa-tang), and electroacupuncture around the eyes. We executed a confrontation visual field exam (the Donders test) to evaluate any visual field defectsResults: The visual field area showed improvement after the management of traditional Korean medical treatments.Conclusion: Based on this case, traditional Korean medical treatments may be effective in treating hemianopia due to stroke.

Keywords

Ⅰ. 서 론

시야 문제는 뇌경색 환자들에게서 많이 보이는 증상 중 하나로, 무시나 안검하수, 반맹 등이 이에 포함된다. 시야 문제는 시신경 루트의 손상에 의해 주로 일어나는데, 뇌경색 환자 중에서 20~57%이 시야결손을 호소한다고 알려져 있다1.

시야 결손의 대부분의 경우는 동측 반맹으로, 양쪽 눈 모두에서 같은 반쪽의 시야가 결손되는 것을 말하며, 대략적으로 시야 결손 환자의 2/3 정도가 이런 증상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다2.

시야 결손의 주된 문제는 환자들이 위험을 겪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데 있다3. 사회적으로 고립되거나 우울증을 앓을 수 있으며 부정적인 사고를 하기 쉬울4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을 하는데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넘어지거나 다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곧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진다5. 그러나 아직까지 유의하게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치료법을 찾지 못 하고 있다6.

본 증례에서는 뇌경색으로 인한 우측 반맹에 대해 31일간의 한방치료를 시행하였고 유의미한 증상의 개선을 보였기에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Ⅱ. 증 례

1. 성 명 : 안◯◯

2. 성별/나이 : 남자 56세

3. 주소증 : 우측 반맹

4. 발병일 : 2013년 6월 6일

5. 진 단 : Cerebral infarction(Left posterior cerebral artery territory)

6. 과거력

1) 고혈압 : 2007~2008년전 진단받고 약 복용

2) 당 뇨 : 2007~2008년전 진단받고 약 복용

3) 고지혈증 : 2007~2008년전 진단받고 약 복용

7. 가족력 : 없음.

8. 사회력 : 농장 경영, Smoking(−), Alcohol(+)

9. 현병력

56세 남자환자로 평소 별무대병 중 2013년 6월 6일 아침 농장일하다 어지러움, 오심, 우측 시야 장애 발생하였고 ◯◯대학교 ◯◯병원 내원하여 Br-MRI 촬영 후 뇌경색 진단받고 6일간 입원치료 하였음. 어지러움 및 오심은 호전되었으나 우측시야장애 지속되어 2013년 6월 12일 한방치료 받기 위해 경희의료원 한방병원 외래 통하여 입원함.

10. 검사소견

1) 생화학, 일반혈액학 검사(2013년 6월 12일) : 별무 특이 소견

2) Br-MRI(2013년 6월 6일/2013년 6월 9일) (Fig. 1, 2)

Fig. 1.Brain-MRI (2013-06-06).

Fig. 2.Brain-MRA (2013-06-09).

11. 계통적 문진

1) 睡 眠 : 양호

2) 食事/消化 : 양호

3) 寒 熱 : 胸部熱感

4) 舌 : 黃苔

5) 脈 : 數

6) 大 便 : 1회/2~3일. 양호

7) 小 便 : 양호

12. 치료 방법

1) 치료 기간 : 2013년 6월 12일-2013년 7월 12일 (31일간)

2) 침치료

0.25×40 mm stainless steel(동방침구제작소 일회용 호침)을 사용하여 양측 곡지, 합곡, 태충, 음곡, 곡천, 경거, 중봉혈에 자침하였다. 유침 시간은 20분으로 하였고, 하루 1회 시행하였다.

3) 한약치료

(1) 2013년 6월 12일-2013년 7월 12일 : 양격산화탕(생지황 인동 연교 각 8 g, 치자 박하지모 석고 방풍 형개 각 4 g)

4) 뜸치료

월-토 매일 20분씩 신기구(간접구)를 활용하여 중완, 관원 2부위에 온열자극을 가하였다.

5) 전침치료

월-토 0.25× 40mm stainless steel(동방침구제작소 일회용 호침)을 사용하여 양측 찬죽, 사죽공, 태양, 사백혈에 자침하고 빈도는 4 Hz, 강도는 환자가 견딜 수 있는 최대한의 세기로 하루 1회 20분 시행하였다.

6) 양약치료

본원에 입원하기 5~6년전 경부터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을 진단받고 이에 대해 telmisartan/amlodipine 40/5 mg/day, Metformin HCl 2000 mg/day, Atorvastatin 10 mg/day를 복용하고 있었으며, 2013년 6월 6일 뇌경색 발병 이후 ◯◯대학교 ◯◯병원에서 Clopidogrel 75 mg/day 처방받아 복용 시작하였고 이는 본원 입원 전후에 변화 없었다.

13. 평가방법

환자의 치료경과를 평가하기 위해 우측 시야장애의 정도를 confrontation visual field exam (Donders test)로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환자와 검사자는 약 1 m 내외의 일정한 거리를 두고 눈높이를 맞추어 마주보고 선다. 환자의 오른쪽 눈을 가리게 하고 왼쪽 눈을 검사할 때, 마주보고 있는 검사자는 같은 방향인 왼쪽 눈을 가리고 오른쪽 눈으로 검사하며 서로의 눈을 응시한 상태에서 시야를 측정한다. 모든 방향의 가장 바깥에서부터 검사자가 손을 뻗어 점점 시야의 중심으로 손가락을 움직이는데, 이때 검사자의 시야에 손가락이 인식되는 범위를 정상으로 간주하고 그에 비교해 환자가 처음 손가락을 인식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검사하여 시야를 측정한다.

14. 치료경과

1) 입원 당일 : Confrontation Visual field exam 검사 시 우측반구의 대부분을 인식하지 못하며 정면으로 2 m 전방의 tv를 시청할 때도 오른쪽 절반의 영상이 보이지 않는다고 호소했다. 보행 시 오른쪽에 있는 사물 및 사람을 인식하지 못해 자주 걸리고 부딪혔다(Fig. 3).

Fig. 3.Result of confrontation visual field exam (2013-06-12).

2) 입원 15일째 : 우측반구의 약 절반 정도로 시야 폭이 넓어졌다(Fig. 4).

Fig. 4.Result of confrontation visual field exam (2013-06-26).

3) 입원 31일째 : 우측 반구의 약 3/4가량을 인식하며 정면으로 2 m 전방에 위치한 티비영상을 우측 끝까지 시청할 수 있었다(Fig. 5).

Fig. 5.Result of confrontation visual field exam (2013-07-12).

 

Ⅲ. 고 찰

이 환자와 같이 갑작스럽게 발생한 동측 반맹에서, 그 원인은 69.6% 정도가 뇌졸중, 외부 손상에 관련한 경우가 13.6%, 종양에 의한 것이 11.3% 정도이며 그 외에는 다발성 경화증이나 기타 질병에 의한 것이라고 보고된 바 있다7. 이 환자의 경우 Br-MRI상 PCA 영역의 뇌경색이 발견되어 이를 증상의 원인으로 보았다.

실제로 시야 문제는 뇌경색 환자들에게서 많이 보이는 증상 중 하나로, 무시나 안검하수, 반맹 등이 이에 포함된다. 시야 문제는 시신경 루트의 손상에 의해 주로 일어나는데, 뇌경색 환자 중에서 20~57%이 시야결손을 호소한다고 알려져 있다1. 뇌경색 부위로 유추하여 시신경이 지나가는 부위의 손상이 있었던 환자들 중 8% 정도만이 정상 소견을 보였고, 68%는 안구 운동성의 문제를, 49%는 시야 결손을, 26%는 시력저하를, 20% 정도는 시각 인식에 장애를 보인 것으로 집계한 연구도 발표되어 있다2.

시야 결손의 대부분의 경우는 동측 반맹으로, 양쪽 눈 모두에서 같은 반쪽의 시야가 결손되는 것을 말하며, 대략적으로 시야 결손 환자의 2/3 정도가 이런 증상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다2. 손상 부위로 분류해 보면 후두엽 손상이 40%, 두정엽이 30%, 측두엽이 25% 정도이고 나머지 5% 정도는 시삭과 외측 슬상핵의 문제로 인한 것으로 보고한 논문도 발표되어 있다8.

시야 결손의 주된 문제는 환자들이 위험을 겪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데 있다3. 사회적으로 고립되거나 우울증을 앓을 수 있으며 부정적인 사고를 하기 쉬울4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을 하는데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넘어지거나 다칠 가능성 이 높으며 이는 곧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진다5.

그러나 뇌경색으로 발생한 시야 결손에 대해 조사된 바가 별로 없었고, 최근에서야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9. 이들을 일상생활로 복귀시키기 위해 인식을 바꾸거나 기구로써 결손된 시야부분을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방법 등이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유의하게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지는 못 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6.

예후에 대해서는 뇌경색 발생 당시 동측 반맹이 있을 경우 상당 수가 죽음에 이르렀고 대부분 완전 회복을 기대하긴 어려우며 반대로 10% 정도는 2주 이내에 거의 증상이 회복되었다고 보고되었다10. 어떤 경우에 회복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가설 단계인데, 후두엽에서도 striate cortex 부분의 손상 정도 및 손상 부위의 크기가 밀접하게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되었다(Fig. 6). Optic radiation, Striate cortex, Occipital pole, Occipital convexity 크게 4부위에서 1~2부위만이 손상되었을 경우, 그리고 striate cortex의 손상정도가 적을 경우에 회복이 더 좋았다는 것이다11. 그러나 본 케이스의 경우, 3부위 정도의 광범위한 손상과 함께 striate cortex 역시 손상 부위가 넓어 자연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웠을 가능성이 높다.

Fig. 6.The region of the occipital lobe associated with visual areas.

본 케이스에서 한약은 양격산화탕을 사용하였는데, ≪和劑局方≫의 양격산에서 유래되어 小兒痲疹, 隱疹을 主治로 하는 것을 소양인의 裏熱病 上消나 纏喉風, 脣腫과 같은 瘡毒性 질환에 응용하기 위해 변방한 처방으로12, 黃苔에 脈數하고 흉부열감 便秘를 호소하고 있어 上焦熱症으로 보고 사용하였다. 이 약은 화열증을 보이는 환자의 급성기 중풍에 있어 병의 진행을 억제시키고 운동기능의 호전을 보였다는 연구도 보고된 바 있다13. 상기 환자는 2013년 6월 6일에 증상이 발생하였고 이처럼 후두엽의 광범위한 손상 및 striate cortex 손상부의가 넓은 환자에게서 시야 회복은 미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11 6월 12일까지 6일간 타병원에서 입원 치료하며 증상 변화가 없다가 본원에서 한약⋅전침⋅침⋅뜸치료를 받으며 증상의 지속적 변화를 보여 31일 정도 만에 일상생활이 가능한 정도로 호전되어 환자의 만족도가 높았다. 한약 및 한방치료가 증상 개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된다.

 

Ⅳ. 결 론

뇌경색으로 인한 우측시야장애를 호소하던 환자에게 31일간의 한방치료를 시행하였고, 우측 시야의 상당부분이 회복되어 일상생활에 거의 지장이 없을 정도로 증상이 개선되었다.

References

  1. Sand KM, Midelfart A, Thomassen L, Melms A, Wilhel, H, Hoff JM. Visual impairment in stroke patients - a review. Acta Neurol Scand Suppl 2013;196:52-6.
  2. Rowe F, Brand D, Jackson CA, Price A, Walker L, Harrison S, et al. Visual impairment following stroke: do stroke patients require vision assessment?. Age and Ageing 2009;38(2):188-93. https://doi.org/10.1093/ageing/afn230
  3. McCarty CA, Nanjan MB, Taylor HR. Vision impairment predicts 5 year mortality. Br J Ophthalmol 2001;85:322-6. https://doi.org/10.1136/bjo.85.3.322
  4. Jones GC, Rovner BW, Crews JE, Danielson ML. Effects of depressive symptoms on health behavior practices among older adults with vision loss. Rehabil Psychol 2009;54:164-72. https://doi.org/10.1037/a0015910
  5. Warren M. Pilot study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limitations in adults with hemianopsia. Am J Occup Ther 2009;63:626-33. https://doi.org/10.5014/ajot.63.5.626
  6. Pollock A, Hazelton C, Henderson CA, Angilley J, Dhillon B, Langhorne P, et al. Interventions for visual field defects in patients with stroke. Stroke 2012;43:e37-8. https://doi.org/10.1161/STROKEAHA.111.639815
  7. Zhang X, Kedar S, Lynn MJ, Newman NJ, Biousse V. Homonymous hemianopias. Clinical-anatomic correlations in 904 cases. Neurology 2006;66(6):906-10. https://doi.org/10.1212/01.wnl.0000203913.12088.93
  8. Pambakian ALM, Kennard C. Can visual function be restored in patients with homonymous hemianopia?. British Journal of Ophthalmology 1997;81(4):324-8. https://doi.org/10.1136/bjo.81.4.324
  9. Sand KM, Thomassen L, Naess H, Rodahl E, Hoff JM. Diagnosis and rehabilitation of visual field defects in stroke patients: a retrospective audit. Cerebrovasc Dis Extra 2012;2:17-23. https://doi.org/10.1159/000337016
  10. Gray CS, French JM, Bates D, Cartlidge NEF, Venables GS, James OFW. Recovery of visual fields in acute stroke: homonymous hemianopia associated with adverse prognosis. Age and Ageing 1989;18(6):419-21. https://doi.org/10.1093/ageing/18.6.419
  11. Çelebisoy M, Çelebisoy N, Bayam E, Köse T. Recovery of visual-field defects after occipital lobe infarction: a perimetric study.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11;82:695. https://doi.org/10.1136/jnnp.2010.214387
  12. Choi AR, Ha JH, Lee JH, Jang WS, Goo DM. A Clinical Study on Strabismus Patient of Abducence Nerve Paralysis in Soyangin Improved with Yangkyuksanhwa-tang.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08;20(3):176-83.
  13. Choi DJ, Ryu SH, Jung WS, Moon SK, Cho KH, Kim YS, et al. The clinical Efficacy of Yangkyuksanwha-tang on Acute Stroke. J Korean Oriental Med 2004;25(1):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