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the Selection Criterion of Physical Computing Teaching Aids for Middle School SW Education

중학교 SW교육을 위한 피지컬 컴퓨팅 교구의 선정 기준 개발

  • 안득하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김영식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19.08.29
  • Accepted : 2019.09.29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selection criterion of physical computing teaching aids for middle school SW education. Literature analysis, Delphi survey, and AHP methods were applied to develop the selection criterion. First, seven characteristics for physical computing teaching aids have been set up by the literature analysis. The contents are suitability for curriculum, safety, durability, economy, general availability, attractiveness, and ease of management.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e Delphi method is used in developing 31 criteria in 7 areas for the selection of physical computing teaching aids. Next, the AHP method was applied to identify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7 areas and between 31 detailed criteria. And then the final criterion for the selection of physical computing teaching aids was developed by calculating scores for detailed criteria.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SW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피지컬 컴퓨팅 교구의 선정을 위한 기준을 개발하였다. 교구를 선정하기 위한 기준을 개발하기 위하여 문헌 분석, 델파이 설문 실시와 AHP 방법을 적용하였다. 먼저 문헌을 통해 피지컬 컴퓨팅 교구가 갖추어야 할 특성을 '교육과정 적합성', '안전성', '내구성', '경제성', '범용성', '매력성', '관리의 용이성' 7개의 영역으로 설정하고 전문가 델파이 설문을 통해 영역별 세부 기준을 도출하여 7개 영역의 31개 세부 기준으로 구성된 피지컬 컴퓨팅 교구의 선정 기준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제안된 선정 기준에 대해 추가로 AHP 방법을 적용하여 7개의 영역과 31개의 세부 기준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부 기준별 배점을 계산하여 정량화된 피지컬 컴퓨팅 교구의 선정 기준을 개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Vermesan, O., Friess, P., Guillemin, P., Gusmeroli, S., Sundmaeker, H., Bassi, A., ... & Doody, P. (2011). Internet of things strategic research roadmap. Internet of Things-Global Technological and Societal Trends, 1 (2011), 9-52.
  2. Stankovic, J. A., Lee, I., Mok, A., & Rajkumar, R. (2005). Opportunities and obligations for physical computing systems. Computer, 38 (11), 23-31. https://doi.org/10.1109/MC.2005.386
  3. 교육부 (2017).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중학교. 세종: 교육부.
  4. 이태욱.최현종 (2016). 정보교과교육론. 서울: 한빛아카데미.
  5. 교육부 (2015).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10. 서울: 교육부.
  6.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8).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정보교과에서의 피지컬 컴퓨팅 교구 활용방안.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7.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 2017년도 소프트웨어(SW)교육 연구학교 현황 및 효과성 분석.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8. 이영재.전형기.김영식 (2017).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피지컬 컴퓨팅 교구 선택 기준 개발 및 적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4), 437-450. https://doi.org/10.14352/jkaie.2017.21.4.437
  9. 전형기.김영식 (2018). 2015 개정 초등 교육과정의 SW교육을 위한 피지컬 컴퓨팅 기반 교구 평가 준거 개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1(5), 37-48. https://doi.org/10.32431/kace.2018.21.5.004
  10. O'Sullivan, D., & Igoe, T. (2004). Physical computing: sensing and controlling the physical world with computers. Course Technology Press.
  11. Blikstein, P. (2013, June). Gears of our childhood: constructionist toolkits, robotics, and physical computing, past and future. In Proceedings of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action design and children (pp. 173-182). ACM.
  12. Rogalski, J., & Samurcay, R. (1991). Acquisition of programming knowledge and skills. Psychology of programming (pp. 157-174) Elsevier.
  13. 유인환 (2005).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로봇 프로그래밍의 가능성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 36(2), 109-128.
  14. 유인환 (2009). 정보영재의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교육용 로봇과 학습프로그램의 개발.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논총, 25(2), 313-331.
  15. 김종훈.김종진.이태옥 (2006). 마이크로 로봇 교육을 통한 초등학교 창의성 계발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6(8), 124-132.
  16. 서정현.김영식 (2012). 아두이노(Arduino)를 이용한 피지컬 컴퓨팅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하계 학술발표논문지, 16(2), 103-107.
  17. 김혜진.서정현.김영식 (2016). 아두이노를 연계한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이 중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2), 707-724.
  18. 윤정구.김영식 (2018). 아두이노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고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27(3), 53-73.
  19. 김재휘.김동호 (2016).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초등 피지컬 컴퓨팅 교육과정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1), 69-82.
  20. Rubio, M. A., Hierro, C. M., & Pablo, A. P. D. M. (2013, July). Using arduino to enhance computer programming cours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In Proceedings of EDULEARN13 conference (pp. 1-3).
  21. 김영희 (2016). 교재교구 : 이론과 실제. 파주: 양서원.
  22. 오연주.이지영.손진실 (2015). 교재.교구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23. 김미숙 (2015). 음악 교재.교구 활용의 당위성과 방향 모색. 예술교육연구, 13(1), 101-104.
  24. Schon, D. A. (2017).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Routledge.
  25.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1. Personnel psychology, 28 (4),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26. Saaty, T. L. (2013).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 Encyclopedia of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pp. 52-64). Springer, Boston, MA.
  27. Saaty, T. L. (1990). How to make a decisi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48 (1), 9-26. https://doi.org/10.1016/0377-2217(90)90057-I